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기자단이 전하는

보름달과 맞이하는 첫 시작
전통사회 정월대보름의 의미와
현대의 세시풍속

정월대보름은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대보름’이라고 불린다. 드물지만 정월 14일을 작은 보름, 15일을 큰 보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렇다면 왜 정월대보름은 세시풍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지니게 되었을까.

달 달 무슨 달
우리의 세시풍속에서 보름달은 큰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농경 중심의 문화 속에서 보름달은 풍요를 상징하였기 때문이다. 달은 음이며 여성으로 상징되었다. 즉 곧 여성, 생산, 물, 식물들과 연관 지어지며, 여신은 대지와 결합하여 지모신으로서 생산성을 의미하였다. 그러기에 여러 세시풍속 중에서도 정월대보름과 추석은 큰 명절로 여겨졌다. 특히 대보름의 경우에는 일 년 열두 달 중 첫 보름달이 뜨는 날로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정월대보름의 세시풍속: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며
전체적인 세시 풍속 행사에서 정월대보름과 관련된 행사가 차지하는 비중을 통해 정월대보름이 얼마나 큰 의미를 지녔는지 파악할 수가 있다. 일 년의 세시풍속 중에서 대보름날에 관련된 내용은 전체 내용의 5분의 1이 넘을 정도이다. 대보름에 행해지는 의례들의 특징은 개인의례 중심의 설과는 달리 공동체 중심의 의례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대보름에 이루어지던 대표적 행사 중 하나는 동제로, 동제를 부르는 명칭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한다는 점은 모두 공통적이다.

이는 놀이에서도 드러나는 특징이다. 줄다리기와 고싸움놀이 등, 많은 사람이 놀이에 참여하는 것을 통해 공동체의 연대를 강화하고 승패를 통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하였다. 또한 행해지는 속신에 있어서도 개인의 건강이나 집안의 안녕보다는 마을 공동의 풍년을 기원하는 형태가 주를 이룬다. 다리밟기는 정월대보름의 대표적인 민속으로, 대보름날 밤에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아프지 않는다고 믿었다. ‘답교踏橋’ 또는 ‘답교놀이’라고도 불리며, 강릉 지방에서는 ‘다리 빼앗기’라고도 불렸다.

또한 부인들이 닭이 우는 것을 기다렸다가 우물에 가서 정화수를 긷는데, 이때 맨 먼저 물을 긷는 사람이 그 해에 제일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이러한 의례를 ‘용알뜨기’라고 불렀는데, 이는 우물은 그 전날 밤 용이 알을 낳은 곳이며, 이 용의 알을 건지는 행위를 통해 복을 얻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왼쪽부터) 제웅치기(한국민속대백과사전), 제웅버리기(한국민속대백과사전)

또한 대보름에는 점복들이 많이 행해졌다. 주로 한 해의 농사가 잘되길 기원하며 그해의 풍흉을 점치는데, 이는 굉장히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난다. 대보름날 초저녁에 달맞이하며 달의 모습을 통해 점을 치거나, 달집을 만들고 불을 질러 달집이 타는 모습을 통해 풍흉을 점치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대보름 전날 저녁에 콩 열두 알을 수수깡 속에 넣고 우물에 넣었다가 대보름날 아침에 콩이 붙어 있는 것을 통해 점을 치거나, 소가 여물을 먹는 것을 통해 점치기도 하였다. 개인의 안녕을 비는 것으로는 ‘제웅치기’와 ‘더위팔기’가 대표적이다. 제웅치기는 액막이의 일종으로 짚인형을 만들어 돈이나 쌀을 넣고 그 사람의 사주를 적는다. 이것을 대보름 전날 길에 버리면 그것을 줍는 사람에게 액이 옮겨간다고 믿었다. 더위팔기는 다른 사람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라”고 하면 그해에는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처럼 농업 중심의 사회에서 정월대보름은 한 해의 농사를 점치고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는 등 큰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세시풍속은 어떨까.

1930년대 중반 모로조프 제과의 밸런타인 광고

오늘날의 세시풍속: 연인들의 날
오늘날에는 대보름의 존재는 옅어지고 설날과 밸런타인데이가 세시풍속으로 자리하고 있다. 설날은 과거부터 이어져 오던 세시풍속이지만, 밸런타인데이는 어떻게 현대의 세시풍속으로 자리하게 되었을까.밸런타인데이의 유래 자체는 3세기경 로마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당시 황제였던 클라우디우스 2세는 전쟁 중에 결혼을 금지했으나 성 밸런타인Saint Valentine은 연인들을 위해 비밀 결혼식을 거행했고, 이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그의 순교 후 성 밸런타인의 순교일을 축일로 정하고 연인들의 날로서 기념해 온 것이다.

이후 선교사들을 통해 이러한 풍습이 일본에 전래하였고, 일본 내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유행하게 되었다. 1932년 고베 모로조프 제과에서는 일본 최초로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주는’이라는 컨셉의 상품을 발매하였으며 태평양 전쟁 개전 전인 1940년 2월까지 6년간 매년 밸런타인 광고를 게재하기도 하였다. 이후 1958년 메리 초콜릿에서 도쿄 내의 백화점에서 일본 최초의 밸런타인 페어를 실시하였으나, 당시 밸런타인데이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의 매상은 50엔에 판 초콜릿 3장과 20엔의 메시지 카드 1장이었다고 한다.

그다음 해인 1959년, 여성 주간지가 잇달아 창간되며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던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여성이 남성에게 1년에 한 번 사랑의 고백을 할 수 있는 날’이라는 메리 쵸코의 캐치 카피를 통해 밸런타인데이는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풍습이 우리나라로 유입된 것은 1980년대 중반으로, 상업적이라는 비판도 일부 존재하지만, 연인들의 날로서 자리 잡았다.

그러다 오늘날에 와서는 연인뿐만이 아니라 친한 사람들끼리 초콜릿을 주고받는 날로 변화되었다. 또한 밸런타인데이는 1990년대 이후 여러 파생을 낳았는데, 통칭 포틴데이fourteen day라고 불린다. 각 달의 14일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여 기념일로서 챙기는 것이다. 의례의 내용으로는 연애와 관련된 것들이 많으며 그 주체는 연인이기도, 아직 애인을 사귀지 못한 솔로이기도 하다. 또한 상업적인 성격을 띠는 의례들이 많다는 것 또한 하나의 특징이다.

과거의 세시풍속은 농경문화 속에서 형성되었다. 그렇기에 변화한 사회구조에 맞추어 밸런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 등과 같이 새롭게 등장한 연중행사들도 현대의 세시로서 거론되고 있다.


글 | 박윤수_제12기 국립민속박물관 기자단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