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기자단이 전하는

한과 바람이 담긴 한·중·일 삼국 가면극 이야기
MASK-가면의 일상, 가면극의 이상

우리는 모두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생기면 가면은 더욱 두꺼워진다. 그렇기에, 가면을 쓴다는 것은 가슴 한 켠에 담긴 소망과 꿈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지인 것이다. 옛사람들 또한 마찬가지였다. 그들은 가면을 쓰고 한과 바람을 노래하고 춤췄다.

어우러짐의 이야기: 한국
한국의 가면극은 탈놀이라고도 불린다. 가면극의 이야기는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로, 관객들이 겪는 현실의 고난을 치유하는 행복한 결말을 지향한다. 그 종류로는 파계승을 풍자하는 노장과장, 처첩 간의 갈등을 다루는 영감·할미 과장, 상민인 말뚝이가 양반을 풍자하는 양반과장이 있다. 엄격한 신분사회와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을 수밖에 없던 이들이 가면을 쓰고, 자신의 바람을 거침없이 드러냄으로써 억눌린 서러움을 풀어내는 것이다.

하회별신굿탈놀이 – 양반과 할미(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

그러나 권력 우위의 존재로 대표되는 양반·영감·파계승과 평범한 인간으로 대표되는 말뚝이·할미·취발이의 갈등 구조는 화해로 끝이 난다. 이것이 한국 가면극의 특징이다. 한과 서러움을 모두 표출한 뒤, 대립하던 사람들이 함께 어울리면서 놀이판이 벌어진다. 이는 가면극 자체가 모든 사회적 위계질서에서 벗어난, 모든 이들이 어우러질 수 있는 공간임을 의미한다.

영웅의 이야기: 중국
중국의 가면극은 나희儺戱라고 불린다. 영토가 넓고, 많은 민족이 살고 있어 각기 다른 가면극의 특징을 가지지만 한 가지 공통점은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는 이야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영웅들은 가면극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첫 번째로 사람의 소원을 들어주는 신이다. 그 예시로 〈정희正戏〉는 24명의 신을 하나하나 불러 소원을 부르는 과정으로 사람들이 신을 부르면 신들이 사람의 소원을 들어주고, 재앙을 소멸시키고 복을 불러준다. 두 번째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영웅이다. 〈서유기西遊記〉는 당나라 승려 현장의 서천취경西天取經을 소재로 한 이야기로 삼장법사와 세 제자인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이 겪는 팔십일난八十一難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세 번째로 곁에 살고 있는 이웃이다. 평범한 인간들의 이야기를 통해 신과 영웅 중심의 엄숙한 분위기에서 벗어나 재미를 준다. 대표적으론 〈안안송미安安送米〉가 있다. 이는 추낭의 이간질로 누명을 쓰고 집안에서 쫓겨난 어머니 방씨를 위해 아들인 안안이 조금씩 쌀을 모아 가져다주었다는 내용이다. 극의 마지막엔 방씨가 다시금 집으로 돌아가 화목을 회복하고, 추낭은 모함한 죄로 혀가 잘리는 권선징악의 구조를 띤다. 이 밖에도 소수민족들의 정체성이 깃든 조상신을 주제로 한 나희도 있다.

 


기도하는 이야기: 일본
일본의 가면극은 신에게 올리는 제사의 한 과정으로 연행된다. 대표적인 것이 가구라神樂이다. 가구라는 신사를 중심으로 연행되는 일본의 오래된 예능 중 하나이다. 특히 11월에서 1월 사이에 겨울 마쓰리冬祭り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봄을 맞이하여 농업과 어업 등 생업과 관련된 신께 기도를 드리는 것으로, 신을 즐겁게 해 쇠약해진 인간의 생명력을 신장시켜 한 해를 살아갈 원동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마을 사람들은 가구라가 연행되기 며칠 전부터 집을 단장하며 신을 맞이할 준비를 한다. 당일에는 목욕재계를 하고 미리 장만한 새 옷을 입고 신가마의 행렬을 맞이한다. 가구라의 특징은 신화를 구현한다는 것이다. 그 예로, 빗추카구라의 이와토비라키노노岩戸開きの能는 남동생 스사노오의 폭력성으로 인해 천상의 바위 뒤에 숨어버린 누나이자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를 동굴 밖으로 꺼내는 신화를 재현하고 있다. 가구라의 마지막 단계는 신을 다시 천상의 세계로 돌려보내는 송신送神이다. 신이 내려앉았던 신좌神座와 신체神體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배웅의 노래를 부르며 떠나보낸다. 이 밖에도 오키나와 등 남부 도서 지역과 도호쿠 지역에는 라이호신来訪神 민간신앙이 존재한다. 이는 1년에 한 번 정해진 시간에 다른 세계에서 인간 세계로 내방해 액을 없애고 복을 준다고 믿어지는 신이다.

 

일본의 노는 오모테라는 가면을 쓴 등장인물이 우타이라는 성악에 맞추어 대사나 춤으로 이야기를 전개해가는 일본적 성격이 뚜렷한 귀족 가면극이다. 노는 한 번 공연할 때 5마당으로 연출되는데, 이를 고반다테五番立라고 한다. 첫째 마당은 신이 세상을 축복하는 내용, 둘째 마당은 수라도修羅道에 빠진 무사의 혼이 주인공인 슈라모노, 셋째 마당은 미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가쓰라모노, 넷째 마당은 남녀 주인공이 겪는 잡다한 내용인 자쓰라모노, 마지막 마당은 오니나 덴구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요즘 현대인들은 상황과 때에 따라 여러 얼굴을 갖고 살아가며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한다. 그러나 평소에는 삼키고만 있던 응어리진 감정을 가면극을 통해 분출한 우리 조상들처럼, 가면을 썼기에 보이는 모습 또한 나의 일부라고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기자단이 추천하는 단 하나의 가면

가면극이 펼쳐지는 장소와 시간만큼은 어떤 말이나 행동도 용인되는 자유의 공간입니다. 기득권층인 노장을 한껏 약을 올리면서 현실 세계를 비판하고 풍자한 하층민으로 대표되는 ‘취발이’야 말로 나의 단 하나의 가면입니다. | 권나연 기자

삼국에서 모두 벽사의 기운을 가진 존재, 복을 기원하고 무사태평과 풍요를 가져다주는 존재로 연희된 ‘사자’야 말로 결국 잘 먹고 잘사는 삶에 대한 바람을 표현한 가면입니다. | 박수빈 기자

영감에게 구박받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이혼과 위자료를 요구했다가 결국 영감에게 맞아 죽고 만 ‘할미’. 왠지 그 불쌍한 할미가 계속 기억에 남습니다. | 송하윤 기자

〈간탄邯鄲〉은 중국 촉나라의 노생이 깨달음을 얻게 해준다는 베개를 베고 잠을 자면서 모든 부귀영화를 경험한 후, 꿈과도 같은 인생의 허무함을 깨닫는 가면극입니다. 청년 ‘노생’의 일장춘몽 이야기를 통해 부귀영화나 성공보다 더 중요한 가치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는 하루였습니다. | 최윤영 기자

하회마을에서 서낭신을 상징하는 탈이 바로 ‘각시’입니다. 탈놀이의 중심이자 처음을 여는 가면이라 중요하기도 하고, 마을의 정체성을 잘 담아내고 있는 가면이라는 생각합니다. | 황정현 기자


글 | 권나연_국립민속박물관 11기 기자단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