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요즈음에는 | 감기

11월, 감기와의 전쟁

살아가며 감기에 걸려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감기는 인류와 함께 해 온 질병 중 가장 성공적인 병원체라 할 수 있다. 그다지 치명적이지 않지만 쉽게 전파되기 때문에 인간 사회에서 박멸되지 않고 삶의 일부로 녹아들었기 때문이다. 아이들이라면 연간 6~8회, 성인이라면 연간 2~4회씩 경험하는 감기는 일상적인 경험이다.

2016년 통계에 따르면 감기로 진료를 받은 사람들은 연간 2천만 명 가량이며, 감기에 쓰이는 진료비는 연간 1조원에 달한다.1)

과거에도 감기는 흔히 겪는 질병이었다.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아니 앓는다’, ‘감기 고뿔도 남을 안 준다’ 등의 속담은 사람들의 삶 속에 감기가 얼마나 깊이 녹아들었는지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19-20세기 일기 자료들에서 감기는 설사와 같은 소화기 질환과 함께 가장 자주 등장했다. 조선시대 사망기록 분석에서도 감기는 전염병, 두창과 함께 주요한 사인이었다.2)

감기는 폐렴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지기도 했기 때문에 만병의 근원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감기를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민간요법들이 구전이나 책자로 전해졌다. 민간요법에 필요한 다양한 약재들은 대부분 마을에서 구할 수 있는 것들이었으며, 필요한 약재들은 마을 사람들끼리 나누기도 했다.

감기는 하나가 아닌 200여 종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난다. 가장 흔한 종류는 라이노바이러스이며, 현재 유행중인 코로나19바이러스의 친척이라 할 수 있는 계절성 코로나바이러스도 약 10~15%를 차지한다. 이 모든 종류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치료법 역시 열이나 기침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소주에 고춧가루를 타 먹으면 감기에 즉효’와 같은 다양한 민간요법이 지금까지도 널리 사용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인류에게 가장 흔한 질병이면서 막대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일으키는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감기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1950년대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쌓이기 시작했다. 결핵, 두창, 말리리아와 같이 주요한 인류의 감염성 질환들이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대부분 밝혀진 것과는 대조적이다.

감기의 원인이 바이러스로 지목된 것은 1910년대였으나, 당시에는 감기를 일으키는 특정한 하나의 바이러스만을 추적했다. 제1,2차 세계대전과 대공황의 여파로 감기에 대한 연구는 지지부진 했지만, 1950년대 영국과 미국의 협력 연구를 통해 감기의 전모가 밝혀지기 시작했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감기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크게 증진시킨 것은 영국 의학연구위원회 산하 감기 연구소Common Cold Unit를 통해서였다. 제2차 세계대전을 지나며 전쟁 시기 국가의 생산력에 심각한 저해를 끼치는 감기를 통제하기 위해 영국 정부와 미국 적십자사가 공동으로 연구소를 설립한 것이었다.3) 당시 이 연구가 혁신적이었던 것은 ‘인간 챌린지 연구Human Challenge Studies’라 불리는 방법을 사용해 감기에 대한 지식을 얻었기 때문이었다. 인간 챌린지 연구는 건강한 자원자들을 바이러스에 의도적으로 노출시켜 질병의 전파 경로, 진행 과정, 치료 방법 등을 연구하는 것을 말한다. 뎅기열, 말라리아 백신 등의 개발이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감기 바이러스는 사회 내에 지나치게 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언제, 어떻게, 어느 바이러스에 노출되었는지 알기 어렵다. 하지만 이러한 통제된 환경에서는 바이러스의 생애에 대해 철저한 관찰이 가능하다.

 

솔즈베리Salisbury 평원의 선사시대 유적 스톤헨지Stone Henge 근처 외딴 곳에 자원자들을 격리하고 관찰하며 연구할 수 있는 연구 시설이 건립되었다. 감기 바이러스를 지닌 자원자들이 바이러스를 지역사회로 유출시키지 않게 함과 동시에, 지역에 유행하고 있는 다른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연구 결과를 오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열흘간 돈을 받아가며 쉴 수 있다는 생각에 많은 대학생들이 이 ‘감기 캠프’에 자원했다. 1946년부터 연구가 종료된 1989년까지 약 2만 명의 자원자들이 여기에 참여했다.4)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많은 지식들이 이러한 인간 챌린지 연구를 통해 얻어졌다. 1961년 감기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처음 분리된 것도 이러한 연구의 성과였다. 밀폐된 공간 안에서 재채기나 콧물에서 나온 비말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것도 이곳에서였다. 연구팀은 코에 연결된 관을 통해 자원자에게 형광물질을 조금씩 흘려 넣고 방 안에서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게 하며 형광물질이 어떻게 전파되는지 확인했다. 관찰 결과 단지 직접 접촉 뿐 아니라 비말을 통해 방 먼 곳까지 형광물질 퍼져나가며, 선풍기가 틀어져 있을 때는 방 구석구석 펴져나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감기는 크게 세 가지 경로로 전파됨을 확인했다. 감기 바이러스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작은 비말 형태의 바이러스를 흡입하거나, 감염된 사람에게 나온 분비물이 근처 다른 사람의 결막이나 점막에 직접 닿거나, 오염된 환경에 접촉한 손을 통해 감염된다. 각각의 바이러스가 선호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이러한 전파 방식에 대한 지식은 손 씻기와 같은 개인위생을 잘 지키고 마스크를 쓰거나 방안을 잘 환기시켜 비말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임을 우리에게 알려 주었다.

약 40여 년간의 연구 기간 동안 우리는 감기와 같은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효용성 때문에 코로나19 유행 초기에도 인간 챌린지 연구에 대한 제안들이 있었다.5) 사망자가 하루가 다르게 늘어가는 상황에서 유행을 가장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백신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백신 개발에는 10여년 안팎의 긴 시간이 걸린다.

인간 챌린지 연구는 통제된 환경에서 건강한 자원자들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시켜 백신의 효과를 직접 측정해 백신 개발 기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었다. 하지만 감기와 비교해 치명률이 높고, 질병의 경과나 후유증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코로나19를 의도적으로 사람들에게 감염시키는 것은 비윤리적이라 여겨졌기 때문에 현실화 되지는 못했다.

한때 인류는 감염성 질환을 금세 정복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겼다. 20세기 중반 항생제의 개발과 제약 산업의 성장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들을 역사의 뒤안길로 보낼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코로나19 유행은 인류가 과거보다 오히려 감염성 질환에 취약해 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새로 등장한 바이러스들은 불과 하루면 대륙을 넘어 전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급속한 세계화로 인구 이동이 늘어나면서 인류와 함께해 온 병원체들은 새로운 기회를 얻고 있다.

하지만 공동체의 위기는 과거와 현재의 지혜를 모아 미래를 대비하고 우리의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많지 않았던 과거 우리의 선조들은 공동체의 지혜를 활용했다. 많은 민간요법들은 경험적으로 얻어진 지식들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축적하며 얻어진 것들이다. 사람들은 민간요법을 자신만의 ‘비방’으로 가지고 있기 보다는 지역 사회와 나누며 함께 위기를 극복해 나갔다. 영국의 인간 챌린지 연구처럼 자원자들은 인류의 의학적 지식을 발전시킨다는 목적 아래 질병에 노출되는 위험을 감수하며 감기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왔다. 이러한 과거의 노력들은 코로나19와 같은 전 세계적 위협 앞에서 지구에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공동체로 함께 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지식을 공유하고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함을 보여준다.

1)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8). 생활 속 질병통계 100선. 12-13쪽.
2)원보영. (2010). 민간의 질병인식과 치료행위에 관한 의료민속학적 연구. 272쪽.
3)Eccles, R., & Weber, O. (2009). Common col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6-18쪽.
4)Tyrrell, D. A. J. (1992). A view from the common cold unit. Antiviral research, 18(2), 106-108쪽.
5)https://1daysooner.org


글 | 정준호_「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 저자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