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궁금한 민속

석인상 얼굴도 지역마다 다르다?

반만 년을 한 곳에서 함께 살아 왔는데도 우리 얼굴에 지역차가 있다. 경상도에는 눈썹이 굵고 진한 사람이 많고, 반대로 평안도와 경기도 사람은 눈썹이 흐리고 대신 얼굴이 길다. 강가 바닷가 주민 65%는 쌍꺼풀이 있지만, 충청북도 내륙과 산지에는 6%만 쌍꺼풀이 있다. 이런 식으로 한반도 전체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면 위도와 경도에 따라 얼굴의 지역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한국 사람으로 살고 있는데 이렇게 지역차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4k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짝을 구하기 때문이다.

 
남녀가 서로 만나야 결혼이 이루어지는데, 멀리 떨어져 있는 남녀는 그만큼 서로 만나게 될 확률이 낮다. 예를 들어 어느 지역에 눈썹이 진한 사람이 살고 있다면, 그 주변에는 비슷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만나기도 쉬워 결과적으로 결혼할 확률이 높아진다. 그렇게 결혼으로 이루어지면 식구가 2~3배 늘기 때문에 그 지역에는 자꾸 진한 눈썹이 많아 진다.
 
 

둘째, 사람의 용모유전자의 수가 너무 적기 때문이다.

 
만일 코 만드는 유전자가 1개뿐이라면 세상 사람의 코 모양이 모두 같을 것이다. 이런 원리로 사람의 용모유전자는 그 수가 극히 적기 때문에 후손에게 대물림 된다. 구석기시대에 한 번 그 지역에 들어온 용모유전자는 비록 이동하더라도 뒤에 들어오는 사람과의 결혼에 의하여 일부라도 유전자를 남기게 된다. 어느 곳이든 인구의 유입과 유출은 계속되지만 적은 수가 들어오고, 적은 수가 나가는 한 본류가 바뀌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 유전자풀은 계속 유지될 수밖에 없다.
 
 

셋째, 남북의 2개의 유입경로에 따른 배합비율 때문이다.

 
또 다른 하나는 용모유전자의 대립성 때문이다. 눈썹이 진하면서 흐릴 수 없고, 길기도 하면서 동시에 짧을 수도 없기 때문에 얼굴은 이러한 대립 중 하나를 택하여 발현될 수밖에 없다. 수만 년 전 구석기 시대부터 지표상 적도 주변의 남쪽주민과 북유럽/시베리아계 주민은 전혀 반대의 용모를 가지고 있었다. 현대의 한국인은 동남아시아의 순다열도로부터 올라온 진한 눈썹과 쌍꺼풀을 지닌 남방계의 지속적인 유입과 1만 년 전쯤 빙하기말 시베리아에서 만주를 통하여 남하한 흐린 눈썹과 작은 눈을 가진 북방계의 유입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위도와 경도에 따라 이 둘의 배합비가 다를 수밖에 없어 얼굴의 지역차가 생긴다.
 

160616_slide_sukinsang_01
160616_slide_sukinsang_02
160616_slide_sukinsang_03
160616_slide_sukinsang_04
160616_slide_sukinsang_05

 

원주민에게 새로운 유전자형이 들어오고, 이 둘의 혼혈이 오래되면 변형되고, 그 변형이 굳어지면 새로운 형으로 치환되는데, 우리 한국인은 구석기·신석기 시대의 원주형原住型에 청동기시대 도래형到來型이 들어오고, 이후 통일신라기의 혼혈기混血期와 고려, 조선시대 변형기變形期를 거쳐 현재는 유전자풀의 상황이 매우 안정된 치환기置換期이다.
 
지역에 따라 얼굴이 다르니, 얼굴 그림이나 장승, 불상, 석인상에도 그 지역 얼굴특징이 반영된다. 자신의 얼굴과 주변사람의 얼굴이 만드는 사람의 뇌리에 박혀있어 조각할 때나 그림을 그릴 때 부지불식간에 반영되는 탓이다. 100년 전 한국인 얼굴의 지역별 사진과 대조해 보면 얼굴의 지역차와 석인상, 장승의 지역차가 여실히 드러난다.

 
 

글·지역별 인물 사진 제공_ 조용진 | 미술해부학 박사, 한국형질문화연구원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