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오래된 공존의 단상

식물은 늘 인간과 함께 있어왔다

 

‘식물植物’은 ‘심다, 구축하다’라는 어원처럼 인간이 이용하는 대상과 재료로서의 의미가 강하다. 영어에서 식물을 뜻하는 ‘PLANT’라는 단어 또한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이러한 인식은 동서를 막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실제 우리는 일상 속에서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게 식물을 인식하고, 식물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관계는 인류 역사의 시작부터 긴 시간 동안 형성되어왔을 것이다. 성서의 창세기에도 나오듯 인류가 출현하기 이전에 이미 식물은 이 땅에 번성하고 있었다. 인류 최초의 의식주 재료가 주변에서 구하기 쉬웠던 식물이라는 가정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이후 식물이 주요 식량 원이 되고, 오랜 시행착오와 지혜가 모여 치료제로 만들어질 수 있었다.

 

한편, 식물에 또 다른 의미와 역사가 더해져 이제 식물은 무궁화나 벚꽃같이 국가와 시대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그뿐만 아니라 식물은 그 자체로서 인간에게 위안과 휴식이 되기도 한다. 도심지 건물 옥상에서 농사짓는 도시농부를 내세운 예능 프로그램은 농사가 도시에서 벌어졌다는 공간적특성에서 신선함을 주었다. 우리는 이제 시골 고향 집 텃밭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 가까이에서 이를 보고 느끼고 싶어 한다. 우리나라 인구의 70% 이상이 도시에서 거주한다는 조사결과와 함께, 도시농부나 도시 정원은 지금 우리가 기대하는 식물의 새로운 역할이자 21세기 인류가 식물과 함께 새로이 설정해 나가고 있는 공존의 형태이기도 하다.

 

151123_column_img_01

시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나물들. 우리와 긴 시간을 함께해 왔다.
151123_column_img_02

최근 도심에서는 자투리 공간 등을 이용해 녹음을 느낄 수 있는 대체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사람의
기억 한 줌과 경험 한 줌으로
식물은 자란다

 

필자에게 가장 중요한 ‘식물’을 꼽으라면 시골집 마당 한가운데 오래된 단감나무를 들고 싶다. 내가 아는 할아버지의 모습은 학사모를 쓴 졸업사진이 유일하다. 그래서 초등학생 시절 할아버지가 심으신 그 나무는 할아버지에 대한 나의 유일한 추억이요, 시골집의 상징과도 같다. 세종시에서 만난 이들에게 자신이 기억하는 식물을 물었다. 그들은 세종시에 거주하게 된 각자의 사연만큼이나 다양한 기억과 시간들을 쏟아냈다. 그 답변들 속에는 필자처럼 삶의 기억과 경험이 녹아있었다.

 

세종시로 은퇴한 노신사는 고향 땅의 오래된 대추나무를 마당에 옮겨 심고서 세종시를 고향으로 삼았다. 40년 된 아버지의 체육관을 지키고 있는 형제는 천장 틈새를 비집고 들어 온 덩굴줄기와 감나무를 묵묵히 보듬으며 소나무 아래에 묻히신 아버지의 뜻을 잇고 있었다. 행복도시가 건설되면서 땔감이 될 뻔한 둥구나무는 주민들의 관심과 노력으로 되살아나 사라진 마을의 새로운 구심점이 되기도 했다. 이들이 기억하는 식물은 자신의 시대와 지역, 경험이 깊이 연관된 중요한 매개체였다.

 

151123_column_slid_01
151123_column_slid_02
151123_column_slid_03
세종시에서 만난 시민들. 그들에게 자신이 기억하는 식물을 듣고 있다.

 

식물은 언제나 우리 주변에 자리해 있다. 때문에 이들을 채취하고 이용하는 관점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우리가 이를 인식하고 기억하는 일련의 현상을 기록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식물’을 주제로 지금 현재 우리 삶을 들여다볼 수 있는 또 다른 의미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글_ 정붓샘 |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 학예연구사
더 알아보기
1개의 댓글이 등록되었습니다.
  1. 김하영 댓글:

    너무나 익숙하게 누려왔던 자연인데..이렇게 읽어보니 새롭습니다. 나에게 의미있는 또한 아이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식물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봐야겠네요.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