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궁금한 민속

아주 오래된 아이돌, 임방울

우리나라에 대중음악이 유행하기 시작한 것이 1920년대 이후의 일이지만 이때까지도 대중들이 가장 선호하는 음악은 판소리 같은 예술음악이었다. 대중매체가 등장한 이후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를 꼽으라면 이른바 ‘국민 스타’의 탄생인데, 당시 유성기와 라디오의 등장과 더불어 대중들에게 그야말로 혜성과도 같이 등장한 소리꾼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임방울1904~1961, 본명 임승근이었다.

조선 시대의 오디션 프로그램 ‘조선명창대회’
임방울 우승하다
사실 일반 대중이 집에서 혼자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유성기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것이 19세기 후반의 일이고, 경성방송국이 처음 시험전파를 발사한 것이 1926년의 일이니, 일반 대중의 경우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개인적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유성기와 라디오 수신기 등장 초기에 사람들은 이것이 어떤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듯하다. 이내 이 새로운 장치들이 음악 분야와 연결되면서 이전에 없던 ‘신기한 물건’ 정도라 여겼건 것들이 대중문화의 장을 여는 사건의 중심이 되었다.
임방울은 1929년 매일신보사가 주최한 ‘조선명창대회’ 무대에 올라 판소리 춘향가의 한 대목인 ‘쑥대머리’를 불렀고 연이어 경성방송국에 출연하여 전국에 임방울이란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당시 ‘조선명창대회’ 무대에 설 정도면 이미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상당한 실력의 소유자였겠지만, 이 무대를 통해 임방울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이름 있는 소리꾼이 아니라 대중들이 좋아하는 소리꾼으로 발돋움하게 된다.

유성기 광고
신문에 실린 유성기 광고.
나팔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가 두배 가량 된다. 없는 것이 더 비쌌다.

 

더 많은 대중이 임방울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 데는 라디오보다 유성기 음반의 힘이 컸다. 경성방송국이 개국한 1927년도에 우리나라에 있는 라디오 수신기 숫자가 총 1,400여 대에 불과했고, 좋아하는 음악을 두고두고 다시 듣기 위해서는 유성기가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당시에 음악을 원하는 만큼 다시 들을 수 있다는 것은 신기함 이상의 놀랄만한 경험이었다.

 

임방울공연사진
임방울이 사람들 앞에서 공연하는 모습
임방울은 이때부터 유성기 음반을 취입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독집만 무려 130면 이상에 이른다. 이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춘향가의 ‘쑥대머리’이며 이 음반만 일본, 만주 등지를 합쳐 20만 장 이상이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고, 항간에는 100만 장 이상이 판매되었다는 얘기도 있다. 인구가 두 배 이상 늘어나고 모든 사람이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지금과 비교해도 이 수치는 많은 것이지만, 1930년대까지도 유성기 소유를 ‘가진 자의 사치’로 여겼던 것을 생각하면 실로 엄청난 수치이다. 모르긴 해도 당시 우리나라에 있는 유성기 숫자보다 몇 배 더 많은 음반이 판매된 셈이니 말이다. 

그 때나 지금이나 흔히 임방울의 이름 앞에는 국창國唱이란 별호를 붙인다. 나라를 대표하는 소리꾼이란 의미일 것이다. 공식적으로 아무도 임방울에게 국창이란 호칭을 붙여주지 않았지만 임방울을 국창이라 부르는 것에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글_ 위철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 임방울 ‘쑥대머리’ 감상하기_네이버 뮤직비로그인시 1분간 미리듣기바로가기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