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궁금한 민속

동지에는 왜 팥죽을 먹을까?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_황진이 시조

얼마나 밤이 길면 그 밤의 길이 가운데 일부분을 떼어 내서 다시 펼친다고 했을까? 동지는 24절기 가운데 22번째 절후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동지에는 동지팥죽을 먹고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여겼다. 그리고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동지를 설 다음가는 작은설이라 여겼다. 또 동지에 동지팥죽을 먹으면 한 살을 더 먹는다는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이 전해지고 있다.

동지는 작은 설

민간에서는 동지를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고 하여 설에 버금가는 명절로 여겨왔다. 밤이 가장 긴 날이 지나고 나면 태양이 부활한다는 의미에서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여기게 되었다. 중국 주나라에서도 동지가 되면 생명력과 광명이 부활한다고 여겨서 동지를 설로 삼았다. 당나라 때도 동짓달을 일 년의 시작으로 삼았고, 우리나라에서는 당나라의 선명력의 영향으로 고려시대까지도 동지를 설로 지낸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동지를 작은설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동지에 팥죽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생각했다.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

동지는 양력으로 12월 21일 또는 22일에 해당한다. 동지는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로 나누는데 일반적으로 동지가 음력으로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兒冬至,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하순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부른다. 동지에는 보통 동지팥죽을 쑤어서 먹는다고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애동지나 중동지에는 팥죽을 쑤어서 먹기보다는 팥시루떡을 해서 먹는다. 애동지에 팥죽을 쑤면 아이들에게 좋지 않은 일들이 생긴다는 속신 때문이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동짓날이 간지干支로 ‘병’자가 들면 병동지라 하여 팥죽을 쑤지 않는다. 이는 병과 병이 동음이기 때문에 마을에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특별히 구분을 하지 않고 팥죽을 먹는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이유

동지가 되면 으레 팥죽을 먹는다. 또 동지 때는 동지시冬至時에 맞추어 팥죽을 숟가락이나 솔잎으로 대문과 집 둘레의 담벽을 비롯한 집안 곳곳에 뿌려 액을 막고 역귀를 물리치는 행위를 한다. 팥죽은 어째서 액을 막고 역귀를 물리친다고 생각을 했을까? 또 동지에 팥죽을 먹는 이유는 무엇일까?

동짓날 중국에서 팥죽을 쑤어 먹으면서 역귀를 쫓는 풍속이 우리나라의 삼국시대에 수용되고 고려시대에 보편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팥죽의 붉은색이 벽사 즉 사악한 것을 물리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있었지만, 6세기 초나라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따르면 공공씨共工氏가 변변치 않은 아들을 하나 두었는데, 동짓날 죽어 역귀疫鬼가 되어 사람에게 해를 끼쳤다고 한다. 그런데 그 역귀가 생전에 팥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역귀를 물리칠 수 있다고 생각을 했다. 역귀란 죽어서 사람을 괴롭히는 귀신으로 주로 역병을 옮겨 전염병을 퍼트리는 귀신이고 벽이나 담을 따라 움직인다고 한다. 동지에 팥죽을 숟가락이나 솔잎으로 집안의 벽이나 담에 뿌리는 이유도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조상들은 동지가 되면 자연스럽게 동지팥죽을 먹었고 잡귀를 막는다고 하여 뱀 ‘사’자를 써서 거꾸로 해서 동지부적을 붙이기도 했으며, 동지고사를 지내기도 하면서 동지와 관련된 다양한 세시풍속을 행해왔다. 이 밖에도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보면 동지가 되면 관상감에서 새해의 달력을 만들어 궁에 바치기도 하고 친지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이것을 가리켜 단오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한다. 이 밖에도 동지에 버선을 선물하기도 하는데 이를 가리켜 동지헌말冬至獻襪이라고 한다. 이처럼 우리 조상들은 가족의 건강과 집안의 안녕 등을 위해 액을 멀리하고 복을 구하는 다양한 행위들을 행하며 우리 고유의 풍속들을 지키며 살아왔다.

161220_curious_01
161220_curious_03
161220_curious_02
161220_curious_04
161220_curious_06
161220_curious_05
국립민속박물관 동지 세시 행사 모습
글_ 최명림 |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 학예연구사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