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궁금한 민속

딸아, 시집 가거든 게으르지 말아라

햇볕 좋고 바람 좋은 5, 6월. 부쩍 결혼 소식이 들려오는 요즘이다. 요즘에는 결혼하는 자식에게 부모는 어떤 당부를 할까? 예나 지금이나 늘 품 안에 있던 딸이 시집을 간다고 하면, 부모들은 아쉽기도 하고 걱정되기도 하며 남편과 함께 잘 지내기를 바라기도 할 것이다. 특히 전통적으로 딸에 대한 애착이 강했던 우리네 아버지들은 한동안 ‘분리 장애’를 겪기도 한다. 딸과의 이별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해 몹시 허전해하거나, 심지어는 거부 반응까지 보이는 것이다. 결혼식장에서 아버지들이 남 모르게 눈물을 흘리는 이유도 바로 그것 때문이 아닐까 한다. 조선후기 한 아버지는 그러한 시집가는 딸에게 당부하는 말을 글로 써서 전해주기도 했다. 바로 송시열의 <계녀서戒女書>가 그것이다.

 

부디 이 책을 몇 번이고 읽으며 잊지 말아라

 

송시열宋時烈1607~1689은 조선후기 대표적인 유학자이자 문신이었는데, 특히 북벌론의 중심 인물이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 청나라와 굴욕적인 강화를 맺자, 송시열은 관직의 뜻을 접고 충북 황간으로 내려가 북벌 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효종이 즉위하자 병자호란의 치욕을 갚아야 한다며 완강하게 북벌론을 제시했다.

 

송시열은 자신의 큰딸이 권씨 집안에 출가하게 되자 시집가서 지켜야 할 도리들을 한글로 써서 전해주었다. 굳이 한글로 써서 준 것은 조선시대 한글을 주로 사용했던 여성들의 입장을 최대한 배려했기 때문이리라. 그렇다면 송시열은 대체 왜 시집가는 딸에게 그러한 <계녀서>를 써서 주었을까? 우선 그는 딸이 어린 나이에 출가하게 되어 걱정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ee

네가 미성未成하여 출가하니, 늙도록 내 곁에 두어 가르치지 못하고 남의 집에 보내니
행여 인사와 매사를 어찌할 줄 모르는 고로 내가 답답하고 민망하여 여러 가지 소견을 써서 구차하게 경계하여 이르나니,
부디부디 뼈에 새기고 마음에 적시어 이 책을 한 달에 두세 번씩 보고 잊지 말아라.

 

하지만 실제론 조선후기 가문주의 시대가 되면서 딸 교육이 매우 중요해졌기 때문이었다. 조선 전, 중기만 해도 우리나라는 남자가 여자 집으로 가서 혼례를 올리고 그대로 눌러 사는 장가와 처가살이를 했다. 다시 말해 딸이 사위와 함께 친정부모를 모시고 살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가족관계에서 아들과 딸을 가리지 않았고, 친족관계에서 본손과 외손을 구별하지 않았다. 또 재산을 아들과 딸이 균등하게 상속받았고, 조상의 제사도 서로 돌려가며 지내는 윤회봉사를 했다.

 

하지만 조선후기엔 혼인제도가 이전과는 정반대로 여자가 남자 집으로 가서 결혼하고 사는 친영과 시집살이로 바뀌고, 가족제도 역시 아들, 특히 큰아들 중심으로 바뀌었다. 또 재산상속도 남녀균분에서 큰아들 중심으로 바뀌어 버렸다.

 

세상이 이렇게 갑자기 바뀌게 된 것은 다른 무엇보다 집안의 지위를 최고로 여기는 ‘가문주의’ 때문이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가문이 중요시되면서 자기 가문을 지키기 위해 그러한 남성 중심적인 혼인과 가족 제도를 적극 도입했던 것이다.

 

그와 함께 가문을 지키기 위한 여성들의 행실도 매우 중요해졌다. 실제로 송시열 역시 집안이 잘 되고 못 되는 것은 모두 가모家母, 즉 안주인에게 달려 있으니 항상 부지런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ee

시부모와 남편 섬기기, 노비와 자식 거느리기가 모두 가모家母에게 달렸으니 재삼 삼가할 일이요,
제사와 방적, 장 담그기, 조석 양식의 출입과 백 가지 일이 모두 가모에게 달려 있으니,
어느 틈에 게으르고자 할 마음이 있으리오.

dd4

송시열 계녀서(필사본).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혼인하는 딸에게 지어준 교훈서이다. 출가하는 딸에게 아녀자가 지켜야할 여러 가지 덕목을 훈계하는 내용으로 부모를 섬기는 법, 형제간의 우애하는 법, 제사를 받드는 법, 손님을 접대하는 법, 하인을 다루는 법, 각종 예의 범절 등이 적혀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남에게 존경 받는 여인이 되거라

송시열의 <계녀서>는 여자가 시집가서 지켜야 할 규범들을 차례대로 일러준 것이다. 그는 먼저 부모와 남편, 시부모를 섬기는 도리, 형제와 친척 사이에 화목하는 도리, 자식을 가르치는 도리를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는 제사 지내기와 손님 접대하는 방법을 일러준 다음, 평소 투기하지 말고 말조심하며 근검절약 하도록 당부하고 있다. 끝으로 병구완과 의복 음식, 노비 부리기를 비롯해서 물자의 임대와 매매 방법, 여러 가지 생활수칙과 선행善行 등을 일러주고 있다.

 

그것들은 철저히 유교적 사고에 입각해 있으며, 또 대단히 강요하는 어투로 서술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2장. 남편 섬기는 도리라’의 일부를 살펴보자.

ee

부부 사이는 지극히 친밀하고 공경하는 것이 도리이니,
말하는 것이나 행동하는 것이나 일동일정에 마음을 놓지 말고 높은 손님을 대하듯이 하여라.
이렇게 하면 저도 똑같이 대접할 것이니 부디부디 뜻을 어기지 말라.

 

하지만 <계녀서>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당시의 가정생활이 결코 순탄치만은 않았음을 은연중에 엿볼 수 있다. 특히 남편의 외도로 인한 부부싸움이 적지 않았던 듯한데, 그래서인지 송시열도 딸에게 투기하지 말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ee

투기하지 말라는 말은 남편 섬기는 대목에서 이미 말했으나,
투기란 것은 부인의 제일가는 악행이니 다시 쓰노라.
투기를 하면 친밀하던 부부 사이도 서로 미워하고 속이고 질병에 관계치 아니하고,
분한 마음과 악정惡情을 내게 하고, 시부모 섬기는 마음이 약해지고,
자연 사랑하는 마음이 덜해져서 노비도 부질없이 때리고 가사도 잘 다스리지 못하고,
늘 악정된 말로 하고 얼굴빛을 늘 슬프게 하여 남 대하기를 싫어하니,
그런 한심한 일이 어디 있으리오.

끝으로 송시열이 시집가는 딸에게 궁극적으로 해주고 싶은 말은 무엇이었을까? 단지 시부모에게 효도하고 남편을 잘 섬기며 친척들과 화목하게 지내기만을 바랐을까? 그보다는 사람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다해야만 남들에게 존경 받을 수 있다는 유교적 가치를 깨우쳐주고 싶었던 듯하다. 또 매사를 규모 있고 조리 있게 해서 지혜롭고 현명한 여인이 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물론 그것들은 지나치게 여성의 희생을 담보로 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말이다.

글_ 정창권 | 고려대학교 교양교직부 교수
여성이나 장애인, 노숙인 등 사회적 약자층을 재조명하여 출판과 방송, 영화, 공연, 전시 등 각종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있다주요 작품으로 『거상 김만덕, 꽃으로 피기보다 새가 되어 날아가리』,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다』, 『향랑, 산유화로 지다』,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조선의 부부에게 사랑법을 묻다』 등이 있다.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