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기자단이 전하는

반짝반짝 빛나는 전시와 함께하는
오색찬란 영롱한 빛깔의 자개

어릴 적 할머니·할아버지 댁에서 종종 발견할 수 있었던 화려한 무늬의 자개장. 시간이 흐른 지금, 흔한 우리네 일상 속에서 ‘자개’란 점점 잊혀가고 있는듯합니다. 기억 한 켠 어렴풋이 자리한 ‘자개’의 모습. 이를 다시금 떠올리게 해주는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의 《반짝반짝 빛나는》 전시를 만나보았습니다.

전시 포스터

반짝반짝 빛나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2023 공예주간’과 함께한 협력 전시 《반짝반짝 빛나는》은 조선시대의 나전칠기부터 전통을 이은 장인의 작품, 나전에 새로운 미를 선사한 현대 공예 작품을 함께 만나볼 수 있는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의 기획전시이다. 자개 특유의 아름다움과 과거 우리의 일상에 자리했던 자개에 대한 기억을 함께 추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 그것이 바로 《반짝반짝 빛나는》 전시이다.

 

전통과 현대의 만남
전시실 입구를 들어선 순간 바로 마주할 수 있는 작품들은 자개의 재료와 기법을 이용한 현대 공예 작품들이었다. 꾸밈없는 순수한 미감으로 유명한 달항아리부터 반짝반짝 빛나는 별의 궤적을 나전으로 표현한 작품까지 그 빛에 자연스레 이끌리는 전시의 도입부다. 깔끔한 매력의 달항아리에 나전의 오묘하고 영롱한 빛이 첨가되면서 그 아름다움이 배가 되는듯하다. 이와 더불어 현대인에게 절대 없어서는 안 되는 파일 폴더 형태의 작품, 전통악기인 거문고·가야금의 울림통을 형상화한 스피커 등 익숙함이 공존하여 더욱 흥미로운 전시가 아닐 수 없다.

실용과 장식

실용과 장식, 과거의 모습
현대 공예 작품을 감상한 후에는 그 뒷면에 펼쳐진 수많은 조선시대의 자개에 시선이 이끌리게 되었다. 족자함, 관모함, 벼룻상, 베갯모, 필통, 소반 등의 다양한 형태를 만나며 당대 일상생활 전반을 풍미했던 자개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삶 속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건에 자개의 장식이 더해짐으로써 나전은 ‘실용과 장식’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었던 기법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재주와 솜씨

재주와 솜씨, 장인의 작품
벽면을 따라 전시된 조선시대의 자개와 중간중간 만나볼 수 있는 현대 공예 작품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모습의 자개장이 등장한다. 어릴 적 기억에 남은 화려함이 그대로 느껴진다. 이와 함께 무지개 빛의 자개를 장식하여 현대적 언어로 표현한 ‘HERITAGE_RAINBOW05’란 작품이 눈에 띄었는데, 해당 전시장에 적힌 류지안 작가의 “시간의 흐름을 품고 있는 자개는 과거부터 현재를 다 보여주는 소재”라는 구절이 매우 인상 깊었다.

기억의 공유

기억의 공유, 우리를 잇는 징검다리
류지안 작가의 한 마디와 함께 전시의 끝자락에는 자개의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징검다리, 장인의 모습과 그 문화를 향유했던 우리의 일상이 영상으로 담겨있다. 그 많던 자개장은 어디로 갔을까? 전시가 던지는 질문을 통해 자개에 깃든 우리의 옛 추억을 꺼내보며 전시를 마무리하였다.

우리네 일상 속 한 페이지
자개는 오랜 과거부터 우리 일상 속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점차 잊혀가는 자개장을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의 《반짝반짝 빛나는》 전시를 통해 다시 한번 상기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단순히 전시품을 나열한 전시가 아닌, 아름다운 미디어 전시가 함께 결합된 전시로서 자개가 익숙지 않은 세대부터 자개에 대한 추억이 있는 세대까지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전시라는 한 줄 평을 남기며, 많은 사람이 《반짝반짝 빛나는》과 함께 즐거운 추억여행을 떠나보시길 바란다.


글 | 박수빈_제11기 국립민속박물관 기자단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