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기자단이 전하는 2

멀티플레이어 ‘조명치’를 둘러싼 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Ⅰ에서는 2023. 5. 3. (수)부터 2023. 8. 15. (화)까지 『조명치 해양문화특별전』이 펼쳐진다. 조기, 명태, 멸치는 우리 바다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물고기들로, 제사상에 올라가는 귀한 비일상음식이자 밥상 위에 일상음식의 재료이었다. 이러한 멀티플레이어 ‘조명치’의 쓰임만큼 이를 둘러싼 삶의 현장에서는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가 있다. 『조명치 해양문화특별전』에서는 조기, 명태, 멸치와 함께하는 가정, 시장, 바다에서의 사람들의 모습을 조명하고 있다. 『조명치 해양문화특별전』의 시작은 멀티미디어콘텐츠와 함께하고 있다. 생선이 바다에서 시장을 거쳐 우리 밥상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며, 전시의 중심 소재와 이를 통해 관람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상 위의 비법 재료, 조명치
한반도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예로부터 생선을 많이 먹었다. 그중 조기, 명태, 멸치는 우리에게 오래전부터 익숙한 생선으로서 국, 탕, 구이, 찜, 볶음, 젓갈 등 그 조리방식 또한 다양하게 발전해왔다. 생선을 재료로 활용한 다양한 요리는 전시실 내 비치된 요리책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조명치는 ‘맛의 삼대장’ 이다. 멸치는 밥상 위에서 국이나 젓갈 또는 말려서 포를 만들거나 각종 양념으로 사용되었다. 조기와 명태는 음식 기능을 넘어 기원의 의미를 담은 의례와 신앙적 의미로까지 나아가며 제사상에 올라가는 중요한 제물이다. 이처럼 우리의 상에서의 조기, 명태, 멸치의 모습을 모형으로 재현해놓음으로써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 있다.

 

시장 안의 유동 재료, 조명치
생선이 바다에서 밥상에 오르기까지 빼놓을 수 없는 공간은 바로 ‘시장’이다. 조명치는 이러한 시장에서 날 것, 익힌 것, 말린 것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 유통, 가공 되어진다, 지금은 우리의 일상에서 흔히 발견하기 어려운 어시장과 어물전과 같은 시장문화를 재현해놓음으로써 조명치의 생동감 넘치는 이동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고기잡이, 중간상인, 소매상, 행상 등 바다에서 그리고 시장에서 조명치를 둘러싼 다양한 사람들이 있었다. 단순히 조명치를 나르는 사람들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우리의 해양 문화가 만들어지는데 구심점의 역할을 하였다. 대표적으로 여러 지역에서 전승되는 어로 노동요가 있으며, 이는 이들의 일상적 삶의 현장과 애환을 담아내고 있는 소중한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바다 속의 추억 재료, 조명치
명태는 한반도에서 가장 많이 잡힌 물고기였다. 그러나 한반도 바다의 기온변화로 인해 사라지게 되었으며, 현재는 수입을 통해서 소비량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또 조기는 어획량이 급감하자 조기와 모양과 맛이 유사한 물고기들을 들여오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조명치는 한반도 바다의 삼대장이라는 타이틀을 내려놓게 되었다.

하나의 음식 재료로서 조명치를 둘러싼
다양한 모습들이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지 않나요? 물질, 공간, 사람이 모여 우리들의 삶의 이야기로 또 역사가 되어갑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있듯이,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조기, 명태, 멸치! 『조명치 해양문화특별전』를 통해 만나보시고 더욱 맛있는 일상이 되기를 바랍니다.


글 | 황정현_제11기 국립민속박물관 기자단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