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윌리엄 길모어, 『서울을 걷다 1894』 중에서[/vc_column_text][/vc_column][/vc_row][vc_row css=”.vc_custom_1559035468611{margin-bottom: 30px !important;}”][vc_column][vc_column_text]하지만 대중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늘어서 1900년대 초에는 옷감을 염색하는 데 쓰이는 화학 염료, 영국 맨체스터 산 무명, 녹슬지도 부러지지도 않는다고 알려졌던 바늘, 말라리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진통제 퀴닌키니네; Quinine 등, 대중의 일상 생활에 보다 긴요한 상품들이 대표적인 수입품으로 꼽혔다.[/vc_column_text][/vc_column][/vc_row][vc_row css=”.vc_custom_1559035468611{margin-bottom: 30px !important;}”][vc_column][vc_column_text] [/vc_column_text][/vc_column][/vc_row][vc_row css=”.vc_custom_1559035468611{margin-bottom: 30px !important;}”][vc_column][vc_column_text]바다 건너 배를 타고 전해진 박래품들은 서양과 조선, 근대와 전근대라는 전선戰線을 형성하면서 조선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켰다. 단순히 말하자면, 서양에 대한 동경과 세련된 공산품에 대한 욕망이 새로운 시대의 문을 연 것이다. 그리고 그 욕망들은 개항 이후 140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한국 사회의 다이나믹한 변화를 이끈 한 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vc_column_text][/vc_column][/vc_row][vc_row css=”.vc_custom_1559035468611{margin-bottom: 30px !important;}”][vc_column][vc_separator color=”custom” style=”dotted” accent_color=”#545353″][/vc_column][/vc_row][vc_row][vc_column][vc_column_text]글_최효찬│국립민속박물관 전시운영과 학예연구원[/vc_column_text][/vc_column][/vc_r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