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명절

정월대보름, 풍년이 왔다!

설에서 정월 보름 사이는 근신하는 기간이다. 한 해의 시작에 경거망동을 해 만약 다치기라도 한다면, 한 해 동안 불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상들은 설 초기부터 보름까지는 삼가 행동을 조심하라는 의미로 12띠 날마다 금기를 부여하였다. 가령, 새해 첫 범날[寅日]에는 ‘남과 왕래를 삼가며 특히 여자는 외출을 삼간다.’, 뱀날[巳日]은 ‘남녀 모두 머리를 빗거나 깎지 않는다.’, 염소날[未日]에는 ‘양의 걸음걸이가 방정맞다 하여 어촌에서는 출항을 하지 않는다.’, 원숭이날[申日]에는 ‘일손을 쉬고 놀며 특히 칼질을 하지 않는다.’, 닭날[酉日]에는 ‘부녀자의 바느질을 금한다.’, 개날[戌日]은 ‘일손을 쉬고 논다.’ 등의 속신을 만들었다. 위처럼 근신이 끝나는 정월 보름이 되면 드디어 사람들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정월대보름을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삼원三元의 하나로, 상원(1월 15일)을 비롯해 중원(7월 15일), 하원(10월 15일)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가에서 이날은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때를 ‘원‘이라고 한다. 정월대보름은 ‘새해 첫 번째 뜨는 만월’이라 이날 다양한 풍속이 행해진다. 그런데 대부분의 풍속은 한 해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다.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측면에서 보면, 달은 달-여신-대지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地母神으로서 다산의 상징이다.

복쌈
오곡밥
오곡밥과 부럼 상차림

정월대보름의 구체적인 풍속을 살펴보자. 대보름에 먹는 음식으로는 오곡밥, 9가지 나물, 복쌈 등을 들 수 있다. 오곡이나 9가지 나물은 모든 곡식과 나물을 상징하며, 그것을 먹는다는 올해 이미 풍년이 들었다는 강한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다. 설 덕담도 사실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표현을 하였다. 그리고 오곡밥을 취나물이나 배춧잎, 근래에는 김으로 싸서 먹는 복쌈 풍속은 과거 곡식을 갈무리했던 ‘섬’을 나타낸다. 즉, 쌈을 먹는 것은 ‘섬’을 입안으로 넣는 것과 마찬가지로 풍년 기원 주술적인 행위이다. 경기 이천지역에서는 ‘볏섬만두’라서 큰 만두피에 작은 만두를 넣고 국수로 감아 실제 섬처럼 만들어 먹는다. 복쌈은 여러 개를 만들어 그릇에 노적 쌓듯이 높이 쌓아서 성주께 올린 다음에 먹으면 복이 온다고 전한다.

대보름에 세우는 볏가릿대와 줄다리기 놀이도 풍년을 기원하는 행위이다. 볏가릿대 세우기는 보름 전날 짚을 묶어서 깃대 모양으로 만들고 그 안에 벼·기장·피·조의 이삭을 넣어 싸고, 목화도 장대 끝에 매달아 이를 집 곁에 세워둔다. 장대에는 타작할 때 사용하는 삼태기, 빗자루 등의 농기구도 걸어두어 한 해 풍년이 되어 이들 도구를 많이 사용하기를 바란다. 그 볏가릿대는 2월 1일 내리는데, 이때 올린 곡식의 양을 종지에 담으면서 “천 섬이요, 만 섬이요” 식으로 소리치면서 곡식이 풍년들기를 염원한다.

보름날 새벽에 부녀자들이 누구보다 일찍 우물물을 길어다가 정화수로 사용하면 그해 농사를 제일 잘 짓는다고 하며, 이런 풍속을 ‘용알뜨기’라고 한다. 보름날 저녁에는 누구보다도 새해 첫 번째 보름달을 보면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여겨 달이 뜨기 전에 앞을 다투어 ‘망월대’로 올라갔다. 이때 보름달을 보며 각자 소원을 빌며, 달의 빛깔을 가지고서 그해 풍흉을 점치기도 한다. 즉, 보름달이 누런빛이면 풍년이 들고 붉으면 가물어서 흉년이 될 것으로 보았고, 보름달이 한쪽으로 기운 경우 그 마을이 올 한 해 농사가 잘 될 것으로 여겼다.

대목리 볏가리대_조자룡 作
승주 송촌리 정월대보름 줄다리기
달집에 매단 소원성취문
경남 남해군 상주면 대보름 지신밟기
밀양 법흥리 달집과 상원놀이
순창 금상마을 정월대보름 탑고사

저녁에 달구경이 끝나면 아무 이야기가 없어도 줄다리기 줄이 있는 곳으로 모여든다. 줄은 볏짚을 이용하여 암줄과 숫줄로 만든 후에 남녀 또는 윗·아랫마을 양편으로 나뉘어 줄을 당긴다. 이때 암줄이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그런데 줄다리기의 줄은 ‘용줄’이라고 불러 줄다리기 행위가 마치 잠자는 용을 깨우는 행위로 여긴다. 겨울잠을 자는 용이 움직여야만 비를 뿌리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기에 농사를 앞두고 용을 깨우는 것이다. 용은 수신水神으로 일찍 자리를 잡고 있다. 암줄과 숫줄을 결합하는 행위는 남녀의 성행위에 빗대고, 승리한 줄을 잘라 밭 거름으로 쓰면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그밖에 대보름날 밤 사발에 재와 그 위에 여러 가지 곡식의 씨를 놓고 그 사발을 지붕 위에 올려놓는다. 다음날 아침 날아간 곡식은 흉작, 남은 곡식은 풍작이 된다고 점을 친다. 콩을 통해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쳐 보기도 하였다. 대보름 전날 저녁에 콩 열두 알의 표시를 하여 수수깡 속에 넣고 묶어서 우물에 넣었다가 대보름날 아침에 그 콩알들이 붇고 안 붇는 것으로 그달의 수해·한해·흉풍·길흉을 점친다. 이것을 ‘달불이’라 한다. 또 동네 안의 호수대로 호주의 표시를 한 콩으로 위와 같이 각 가정의 점을 치는 것을 ‘집불이’ 혹은 ‘호불이’라 한다.

경기, 충청도에서는 정월 열 나흗날 지게에 갈퀴·가마니·삼태기·새끼줄·싸리비·도리깨 등 타작을 할 때 필요한 농기구를 얹어 대문 바깥에 놓았다가, 보름날 집안으로 들여온다. 이것은 한 해 농사를 잘 짓게 해달라는 의미로써, 가을걷이에 주로 쓰이는 농기구를 지게 위에 올려놓는 것이다. 경상북도 농가에서도 수수깡으로 지게 모형과 벼, 보리, 목화 따위의 농작물을 만들어 두었다가 저녁에 달맞이를 하고 나서 타작하는 시늉을 한다. 실물 대신 수수깡으로 만들었다는 차이뿐이지 상징적인 의미는 같다.

정월대보름의 풍속은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지만, 그 행위는 이미 풍년이 든 것이다.

글_정연학│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 학예연구관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