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궁금한 민속

닭, 여명과 축귀의 상징

한반도에 언제 닭이 자생하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대부터 닭을 길렀던 것 같다. 문헌상에 삼한시대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훨씬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닭이 본격적으로 한국문화의 상징적 존재로 나타나게 된 것은 《삼국유사》에서 혁거세와 김알지의 신라 건국신화에서이다. 알영이나 김알지 같은 나라 임금이나 왕후가 나타날 때 서조瑞兆를 미리 보여주는 새로 닭이 표현되어 있다. 닭을 숭배하는 풍속은 고구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무용총 천장에도 닭이 한 쌍이 있고, 인도에서 고구려를 계귀국이라고 부르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천마총을 발굴했을 때 단지 안에 수십 개의 계란이 들어있었고, 또 신라의 여러 고분에서 닭뼈가 발견된다. 능 속에 계란과 닭뼈가 들어있었던 것은 저 세상에 가서 먹으라는 부장식량일 수도 있고, 알 속에서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듯이 재생, 부활의 종교적인 의미로 해석해 볼 수도 있다. 문헌 기록뿐만 아니라 천마총의 달걀껍질이나 지산동고분의 닭뼈, 백제 고배 속의 달걀껍질에서 알 수 있듯이 닭은 일찍부터 중요한 제물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계명성鷄鳴聲의 시보時報

천지개벽을 다룬 제주도 무속신화 《천지황 본풀이》 서두에서는 닭울음으로 ‘혼돈에서 질서로의 이행이라는 우주적 차원의 질서’를 예고한다. 김알지 신화에서는 나라를 통치할 인물이 탄생했음을 알리며, 흰 닭은 빛의 상징으로 자연 상태의 사회에서 국가적 체계를 갖춘 단계를 예고한다. 닭은 울음으로써 새벽을 알리는, 빛의 도래를 예고하는 존재이다. 예고내용이 빛이기 때문에 닭은 태양의 새이다. 그래서 닭울음은 다양한 상징을 내포하고 있다.

닭의 울음은 때를 알려주는 시보의 역할을 한다. 시계가 없던 시절 새벽 시간은 닭의 울음소리로, 날씨가 흐린 날이나 밤시간은 닭이 횃대에 오르는 모습을 보고 시간의 흐름을 파악했다. 유시酉時를 오후 5시에서 7시로 배치한 것도 바로 닭이 횃대에 오르는 시간에 맞춘 것이라고 한다. 특히 흐린 날 오후 주부들의 저녁시간 가름은 닭의 이러한 행동을 보고 알았다. 수탉은 정확한 시각에 운다. 그래서 그 울음소리를 듣고 날이 새었는지를 알 수 있었고, 조상 제사를 지낼 때는 바로 이 닭울음소리를 기준으로 뫼를 짓고 제사를 지냈다.

여명黎明과 축귀逐鬼의 닭

닭은 울음으로써 새벽을 알리고, 빛의 도래를 예고하는 동물이다. 닭이 울면 새벽이 온다. 사람들은 닭울음소리와 함께 새벽이 오고 어둠이 끝나며, 밤을 지배하던 마귀나 유령도 물러간다고 생각하였다. 닭의 태양 관련 상징성은 그 자체 속에 신성성을 함축하고 있다. 그리고 닭은 귀신을 쫓아내는 축귀의 능력이 있다. 닭은 빛을 불러오면서 액을 물리치는 여명과 축귀의 상징이다. 닭그림은 세화歲華로써 호랑이, 용, 개, 사자 그림과 같이 정초에 액을 없애고 복을 부르는 의도로 그려져 대문이나 출입구에 붙였다. 축귀와 벽사의 동물로 닭을 상징한 것이다.

미래를 예지하는 서조瑞兆

닭은 태양이 뜨는 때를 아는 예조의 능력을 지니고 있다. 닭이 동틀 때와 해질 때를 미리 선언하고 행동한다. 신라 시조 알지가 태어날 때 흰 닭이 등장한다. 중요한 인물의 탄생을 미리 알려주는 닭은 상서로운 존재이다. 그런가 하면 백제의 멸망도 미리 알려준다. 고전문학에서도 닭은 예보의 기능을 하는 동물로 나타나고 있다. 닭은 미래를 예지하고 예고하는 서조이다.

161229_curious_01

김전 안중식의 「쌍계도」, 만봉의 「십이지 신장 닭 신 미기라 대장」, 조선 후기의 「오동계자도」_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입신출세와 부귀공명, 자손번창의 상징

조선시대에 학문과 벼슬에 뜻을 둔 사람은 서재에 닭의 그림을 걸었다. 닭은 입신출세와 부귀공명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닭 볏은 관을 쓴 모습이다. 관은 학문적 정상과 벼슬을 하는 것 같다. 특히 닭의 볏과 벼슬을 같은 발음이다. 닭과 함께 맨드라미, 모란을 그린다. 닭의 볏과 맨드라미의 모습이 비슷하다. 이는 관 위에 관을 더하는 것으로 최고의 입신출세를 의미한다. 모란은 부귀를 상징하고, 수탉이 길게 우는 모습과 공명을 의미한다. 수탉, 즉 공계公鷄의 ‘公’과 ‘功’, 길게 운다는 ‘鳴’과 ‘名’의 음이 같은 데서 착안해 공명功名이 된다. 수탉이 모란과 만나면 부귀공명을 기원하는 의미가 된다.

봄날 갓 깨어난 병아리가 어미 닭의 보살핌을 받고 있는 그림이 있다. 이는 오복五福 가운데 하나인 자식 복을 염원하는 것이다. 닭그림은 이처럼 입신출세와 부귀공명, 자손번창을 기원하면서 선비의 서재에 걸었던 것이다.

한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는 서곡序曲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면서 지난해의 불행은 다 사라지고 행복만 가득하라는 말 가운데 “닭이 우니 새해의 복이 오고 개가 짖으니 지난해의 재앙이 사라진다.”라는 덕담이 있다. 닭은 보양자保養子하고 가족의 보호와 생활권을 위해서 용감하게 투쟁하고 시간의 흐름, 세상의 변화를 판단하는 서조이다. 캄캄한 어둠 속에서 여명을 알리는 닭은 상서롭고 신통력을 지닌 서조로 여겨져 왔다. 밤에 횡행하던 귀신이나 요괴도 닭 울음소리가 들리면 일시에 지상에서 사라져 버린다고 민간에서는 믿고 있었다. 새벽을 알리는 우렁찬 닭의 울음소리! 그것은 한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는 서곡으로 받아들여졌다.


닭이 홰를 치면서 맵짠 울음을 뽑아 쫓고 어둠을 짓내몰아 동켠으로 훠언히 새벽이란 새로운 손님을 불러온다.
– 윤동주 「별똥 떨어진 데」 중

글_ 천진기 | 국립민속박물관 관장

| 원문 출처 –민속소식 제133호
| 특별전 <2017 특별전-정유년(丁酉年) 새해를 맞다> –바로가기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