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그땐 그랬지

김영하 「호출」

이야기는 충무로역의 플랫폼에서 시작된다. ‘나’는 그곳에서 그녀를 만난다. 그녀의 외모와 자세와 태도는 그를 매료시켰고, 그녀는 그가 자신에게 매료되었다는 것을 안다. 그들은 같은 전철의 같은 량에 타게 된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그는 혜화역에서 내려야 한다. 세 정거장만 가면 혜화역. 그녀는 어디에서 내릴까? 혜화역에 내릴까? 내리지 않는다면? 아, 어쩌지?… 고민하던 이 남자가 택한 방법은 이렇다. 무선 호출기를 주고 내리는 것. 호출기, 그러니까 삐삐라고 불렸던 그것이다.

이 삐삐가 전면에 등장하는 이야기는 1996년 발표된 김영하의 단편소설 「호출」이다. 이 소설은 1997년에 발간된 동명의 소설집에 실려 있다. 그러니까 이 소설의 배경은 1995년 전후가 될 테인데, 당시의 삐삐는 첨단 문물이었다. 핸드폰이 보급될 때와 비슷했다. 처음에는 그 존재만으로도 각광받았고, 그 다음에는 다른 삐삐들과 차별되는 기능이나 심미성으로 경쟁을 벌였고, 그 다음에는 모두가 알다시피 거의 사라져버렸다. 핸드폰이 삐삐를 대체하게 된 것이다.

culture_161117_01

무선호출기의 단짝, 공중전화
culture_161117_02

초기의 무선호출기.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한 사전은 이 기계를 이렇게 정의한다. “1983년 국내 무선호출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등장한 삐삐는 처음에는 기업의 사업용 통신수단으로 이용되었지만 1990년대에 들어와 폭발적인 수요를 자랑하며 1997년에는 가입자 수가 1,500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일반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다. 삐삐는 휴대전화가 대중화되기 이전의 대표적 휴대 통신기기로 이동 중에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통신 기기로 여겨졌다.” 김기란·최기호, 《대중문화사전》, 현실문화연구, 2009

믿기 어렵겠지만, 삐삐는 ‘혁신적’인 통신 기기였다. 위의 글에도 나와 있듯이 “이동 중에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러니까 삐삐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이동하면서 커뮤니케이션하는 게 거의 불가능했거나 상당히 어려웠다. 집에 있는 전화로만 약속을 잡을 수 있었고, 약속 장소에 상대가 늦더라도 영문을 알 길 없이 그를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무엇보다 집 전화는 지금의 핸드폰처럼 개인 기기가 아니었으므로 독립성(?)을 침해 당할 우려가 상당히 있었다.

다시 소설로 돌아와서, 이 남자는 어떻게 했을까? 정말 삐삐를 주고 내렸을까? 그리고 어떤 말을 하면서? 그는 삐삐를 주면서 무슨 말을 할지 고민했던 거다. 그래서 결과는? 아래에 나온다.

잠시 그 삐삐를 쳐다보았다. 검은색 바탕에 별 특징 없는 싸구려 삐삐였다. 요즘은 패션 삐삐니 카드 삐삐니 해서 가볍고 예쁜 삐삐도 많은데 하필 이런 걸 들고 다니다니. 그래도 과히 기분은 나쁘지 않았다. 진동으로 맞추어져 있습니다? 그 말과 함께 이 삐삐를 건네주고는 황급히 사라지던 그의 표정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의 말대로 삐삐는 정말 진동으로 맞춰져 있었다. 헌데 그는 왜 삐삐를 치지 않는 걸까? 왜 그녀를 호출하지 않는 걸까.

그러니까 남자는 여자에게 삐삐를 준 것이다. 그러고는 호출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여자는 이 남자를 궁금해 하고 있다. 어쩔 수 없다. 삐삐는 여자의 것이 아니므로 번호를 알 수 없고, 삐삐는 여자에게 있으므로 호출할 수 없다. 여자는 호출당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삐삐를 둘러싼 이 관계에서 약자다. 기다릴 수밖에 없다. 어쩔 수 없다. 그렇다면 남자는 왜 호출하지 않는 걸까? 여자의 짐작대로 바로 호출하기는 좀 쑥스러워서 하루 정도의 말미를 두는 걸까? 아님 나름의 바쁜 일이 있었던 걸까? 정말 그는 오늘 호출할까? 그렇다면 오늘, 언제?

어쩌면 이 삐삐는 짐승의 암컷들이 풍기는 암내 같은 것인지도 몰랐다. 그녀가 이 삐삐를 가지고 다니는 한, 그는 어디서든 그녀를 불러낼 수 있는 것이다. 그녀가 이 삐삐를 지니고 다니는 행위만으로도 이미 그를 받아들이고 있다는 얘기가 성립하는 셈이다. 불쾌한 추론이었지만, 그래도 삐삐를 버릴 수는 없었다. 어쩌면, 어쩌면 말이다. 이 삐삐를 버리면 세상의 모든 사람과의 연이 끊어질 것 같은 예감마저 들었다. 그래서 이 삐삐는 다시 또 하나의 눈이 된다. 세상 어디선가 그녀를 지켜보고 있을 눈동자들. 그녀는 이런 눈동자에 익숙해져 있다.

그러면서 여자는 별별 생각을 다 하게 된다. 공상과 망상, 상상, 그리고 추측과 분석. 울리지 않는 삐삐를 보면서 삐삐의 존재와 자신의 존재, 자신과 세상과의 관계에 대해 생각한다. 그녀에 따르면, 삐삐는 “짐승의 암컷들이 풍기는 암내 같은 것”이기도 하고 “세상 어디선가 그녀를 지켜보고 있을 눈동자들”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자신과 세상을 연결해주는 어떤 끈’이기도 하다. 그러니 여자는 일방적으로 건네 받은 이 삐삐를 지니고 있는 것만으로도 불쾌하지만 – 그의 호출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는 것이 – 이 불쾌함을 감내하면서 기다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대체, 이 남자는 언제 호출을 하는 걸까? 라며 이 여자와 함께 안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 소설을 읽다 보면. 남자는, 정말, 언제?

자, 시작하자. 그러기 전에 마무리 지어야 할 일이 있다. 그녀를 호출해야 하는 것이다. 내 호출기, 내 더듬이를 가져간 여자를 불러야 하는 것이다. 나는 심호흡을 하고는 수화기를 들었다. 천천히 10자리의 번호를 눌렀다. 내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안녕하세요, 이연식입니다. 호출하실 분은 1번, 메시지를 녹음하실 분은 2번을 눌러주세요. 곧 연락드리겠습니다. 나는 1번을 눌렀다. 그리고는 내 방 전화번호 7자리를 조심스럽게 눌렀다. 그리고 전화를 끊었다.

남자는 호출을 한다. 소설의 거의 마지막 부분에서. 여자의 계속된 기다림은 이제 그만 지연되어야 하고, 소설가의 입장에서 보자면 소설을 마무리 지어야 할 테니까. 그래서 그들은 어떻게 되었나? 이런 소설의 결말을 이야기해주는 것은, 개인적으로 영업방해 행위라고 생각한다.

글_ 김영하
1995년 계간 《리뷰》에 「거울에 대한 명상」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살인자의 기억법》 《너의 목소리가 들려》 《퀴즈쇼》 《빛의 제국》 《검은 꽃》 《아랑은 왜》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소설집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오빠가 돌아왔다》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호출》이 있다. 산문집으로 《보다》 《말하다》 《읽다》 등이 있다.
글_ 한은형 | 소설가
2012년 문학동네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 2015년 장편소설 《거짓말》로 한겨레문학상 수상. 소설집으로 <어느 긴 여름의 너구리>가 있다.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