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조명을 세부전공으로 연구하며 후학을 지도하고 있는 직업 특성상, 지인의 권유로 민속박물관에서 발행한 <빛 / Light - 燈, 전통과 근대>라는 국립민속박물관 전시도록을 읽어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조명을 주제로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이렇게 체계적이고 방대하게 자료들을 꼼꼼하게 모은 책은 처음 대한다.
선조들의 바람과 믿음
142만 년 전쯤 모닥불의 흔적에서 알 수 있듯이 인류가 처음 불을 사용한 것은 추위와 조리를 위한 것이었는데, 이것이 발전하여 조명의 역할로 발전하게 되었고, 처음 기름등잔을 사용하면서 ‘심지’의 기술이 나타났다. ‘심지’는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균일한 불꽃을 처음 인류에게 선사했다는 점에서 획기적 인공조명 기술이라 평가된다.
보고서에 맨 처음 등장하는 주제는 “빛으로 바라다”라는 것으로, 조명이 단순하게 어두움을 극복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많은 부분에서 선조들이 마음의 염원을 상징화 해 소원을 비는 목적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빛은 하나님의 상징이거나 부처님의 광배이거나, 여타의 종교에서 중요한 상징이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 인간의 마음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때문에 우리 조상들도 다양한 제사와 종교의식, 결혼과 같은 중요한 시점에서 항상 등구를 사용하여 왔다. 감동적인 것은 우리 선조들이 사용해 온 등구의 디자인이 서양의 어떤 디자인 사조에 못지 않게 조형적으로 뛰어나고, 또한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준다는 점이다. 완벽한 형태의 모습보다는 소원을 비는 마음처럼 어딘가 부족해 보이지만 간절함이 배어있는 디자인이라는 점에서 또한 감동적이다.
삶이 달라지다
보고서에서 조명등구의 사진이나 관련 자료의 충실함은 탁월한데 반해 그 등기구들이 어떤 조명 효과를 주었는지 실질적인 검증과 이를 통해 조상들의 밤의 생활을 그려보는 부분은 조금 아쉬웠다. 물론 이에 대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조명은 밝히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빛과 어둠을 적절히 섞어서 만드는 것이고, 어둠과 그림자야 말로 우리 문화가 가진 최대한의 특질이 아닐까 생각한다. 근대의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원하는 만큼 언제 어디서나 빛을 가질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지만, 정작 우리들은 빛의 홍수 속에서 감성적인 사유는 부족해져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보고서에서는 또한 “서양으로부터 들어온 석유石油와 전기電氣가 새로운 조명의 시대를 열었다”고 하면서 이후 달라진 생활의 변화와 관련 자료들을 정리하고 있다. 전기의 도입과 처음으로 밝혀진 전기불이 켜졌던 1887년 밤으로부터, 1900년 4월 10일 종로에 거리조명용 첫 민간전등이 켜지고, 1901년 8월 17일 진고개와 본정통명동, 충무로에 일본인 상가 주택가에 10촉광燭光의 600등燈으로 첫 영업용 전등이 밝혀졌다. 한 촉燭 촛불에, 익숙한 당시 조선인들에게 10촉광의 불빛은 형언 할 수 없는 밝음이었다. 10촉광은 대략 지금의 10와트인데, 보통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구가 60와트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매우 약하게 생각되겠지만, 칠흑 같은 어둠에 익숙해져 살아가던 선조들에게는 엄청난 문화적 충격이었을 것이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조명은 근대를 가장 강렬하고 직접적으로 느끼게 하는 프로파간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또한 밤은 보이지 않는 불안으로부터 가정 내에 은거하여 생활하던 시민들을 거리고 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매년 4월경 창경궁의 벛꽃놀이는 새로운 진풍경이 되었으며, 연인들과 호사가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밤의 시간적 체험을 가능케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