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살던 동네에 기생이 나온다는 요정이 있었다. 저녁 무렵이면 머리를 만지고 예쁘게 화장한 누나들이 높은 돌담장으로 둘러쳐진 집을 바쁘게 드나들었다. 높은 담장 너머에는 큰 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어서 바깥에서는 집이 온전히 보이지 않았지만, 문틈으로 보이는 정원은 멋지게 굽은 나무들과 기이한 바위들이 썩 잘 어울렸다. 어둠이 내리면 정원 곳곳과 방방이 불이 훤히 켜졌다. 주로 정치인이나 사업가들이 벌인 술판에서 기생은 악기를 연주하고 노래를 부른다고 했다. 부산 동래의 온천장에 있는 동래별장이라는 곳이다. 지금은 한정식집이 되어 결혼식장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어린 내 눈에 비친 기생은 해질녘 살짝 나타났다 자기들만의 세계로 사라지는 별세계에 사는 선녀와 같았다. 옛날에 동네 기생을 여우로 보고 잡으려 한 우활한 선비가 있다더니 기생은 정말 보통 사람과 달랐다. 기생은 죽어도 볼품이 있다는 ‘기생 죽은 넋’이라는 말이 공연한 것이 아니었다. 내가 본 1970년대의 기생이야 전통적 관념에서 보면 기생이라고 말을 할 수도 없을 것이다. 양인과 천민을 나누는 신분제로 인해 기생이 된 것도 아니고, 기예妓藝의 측면에서도 제대로 배우기나 했을까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양만은 그리 다르지 않았다.
조선시대 기생들도 뽐내고 자랑할 때는 스스로를 선녀에 비겼다. “우리 근본 생각하면, 아득한 옛날 옛적, 하늘에 죄를 입어, 인간 세상 쫓겨 오니, 적강 신선 아니라면, 정한 남편 뉘 있으리. 왕손으로 벗을 삼고, 호객으로 이웃하여, 고루거각 비단 장막, 비단옷 좋은 음식, 신선이 아닐진대, 호화를 이다지 할까.”라고 뻐겼다. 기생은 스스로를 하늘나라에서 쫓겨 내려온 선녀에 비기면서, 자기들과 같은 처지의 훌륭한 신선이 아니라면 남편으로 삼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귀족이나 부자들과 사귀면서, 좋은 집, 좋은 옷, 좋은 음식으로 호화롭게 산다고 했다.
그러나 이런 화려하고 호화로운 기생 생활에도 이면이 있다. 빛의 반대쪽 그늘이다. ‘기생의 자릿저고리’라는 말이 기생의 그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자릿저고리란 잠잘 때 입는 저고리, 즉 잠옷이다. 기생이 머리와 얼굴을 꾸미고 손님들이나 청중들 앞에 있을 때는 아름답지만, 일이 끝난 다음 속옷 바람으로 잠이 들면 머릿기름과 화장 분으로 더 지저분하다. 보통 사람보다 예쁜 모습을 보였다가 더 더러운 모습으로 추락하는 것이다.
젊고 예쁘거나 자신의 예술적 능력을 인정받을 때는 기생의 자랑이 허세로 보이지 않지만, 사람이 늘 젊고 예쁠 수 없고 늘 잘할 수도 없다. 나이 들어 기생 일에서 물러난 퇴기야 아무 곳에도 의탁할 수 없는 불쌍한 신세일 것을 누구나 알지만, 운 좋게 귀인의 첩이 되어도 그 인생은 가련하기 그지없다. 첩이 스스로의 인생에 대해 탄식하며 부른 노래를 보면 “집 정한 첩 좋다 하나, 첩 구실 극난이라. 처첩이 부부지정은 동시 일반이나, 위계가 현격하니, 분한 일 많고 많다.”고 하면서, 어떻게 행동해도 욕을 먹는 첩의 처지를 구체적으로 묘사했다.
기생의 삶은 이처럼 겉과 속이 크게 달랐다. 기생의 겉만 보고 기생이 밖으로 내뱉은 말만 들으면 결코 그들을 이해할 수 없다. 기생을 보는 시선은 남성의 것도 있고, 기생 아닌 여성의 것도 있지만, 기생 스스로의 것도 존재한다. 그들의 시선에서 보지 않으면, 또 그들의 속마음을 담은 말을 듣지 않으면, 그들의 삶도, 그들이 남긴 문학도 예술도 이해할 수 없다. 이것이 기생은 물론 한 인간을 온전히 이해하는 길이다.
*이 글의 인용은 필자의 책 <나는 기생이다>문학동네, 2007에서 찾을 수 있다.
한글소설을 중심으로 주로 조선시대의 주변부 문화를 탐구했다. 기생의 삶과 문학을 다룬 <나는 기생이다 – 소수록 읽기>, 그림과 소설의 관계를 연구한 <구운몽도 – 그림으로 읽는 구운몽>, 음담에 나타난 저층문화의 성격을 밝힌 <조선의 음담패설 – 기이재상담 읽기>, 사도세자의 죽음을 통해 조선 정치사의 이면을 살핀 <권력과 인간-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조선 후기 천주교 수용을 다룬 <죽음을 넘어서 – 순교자 이순이의 옥중 편지> 등의 책을 펴냈으며, <한중록>과 <구운몽>의 번역서를 출간하기도 했다. 조선시대 소설 유통에 대한 연구와 아울러 한국문화의 위상과 성격을 언어, 종교, 사상 등의 여러 측면에서 바라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필자는 전시도록 <기생 100년 엽서 속의 기생읽기>를 살펴보고, 자신의 조사 내용과 개인적인 추억을 토대로 이 글을 썼다. 전시도록 <기생 100년 엽서 속의 기생읽기>는 2008년 6월 18일부터 2008년 7월 10일까지 개최한 박민일 기증 특별전 <기생 100년 엽서 속의 기생읽기>에 전시한 자료를 수록한 것으로, 전시는 박민일 박사가 기증한 270여점의 기생엽서와 관련 자료를 통해 기생의 기원부터 20세기 패션리더 기생까지 살펴볼 수 있는 자리로 구성되었다.
| 전시 도록 <기생 100년 엽서 속의 기생읽기> – PDF



댓글 등록
좋은 자료를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늘 우리 역사에 관심이 있습니다만.. 자주 찾지를 못하고 ..ㅜㅜ
생각난 김에 국립민속 박물관에 들러 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