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에서는 4

박물관의 전문성을 담아낸, 어린이를 위한 최초의 민속사전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 편찬

글 김형주(어린이박물관과 학예연구사)

국립민속박물관은 초등교육 현장에서 민속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을 편찬했다. 이 사전은 초등 교과와의 연계성을 살린 결과물로, 초등 3학년 과정에서 배우는 우리나라의 국가무형유산인 5대 명절(‘설과 대보름’, ‘한식’, ‘단오’, ‘추석’, ‘동지’)에 관한 표제어 109개를 선정해 만들었다.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표제어 설명을 했으며, 그 이해를 돕고 학습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500여 건의 사진, 동영상, 게임, 퀴즈 등의 민속 콘텐츠도 담았다.

시작 화면

디지털, 콘텐츠, 온라인, 전문성 그리고 민속
우리는 콘텐츠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은 일상다반사이며, 올해부터 각급 학교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 이처럼 온라인 기반의 학습 환경에서 수많은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세상이지만, 그만큼 부실한 콘텐츠도 넘쳐난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자타가 공인하는 민속 전문 기관으로, 민속에 관한 신뢰성 높은 콘텐츠가 넘쳐난다. 이에 초등교육 과정에서 필요한 민속 콘텐츠와 관련 지식을 교사와 학생에게 제공하자는 발상에서 『어린이민속사전』의 편찬을 시작했다. ‘민속에 관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옥석을 가리는 시간을 줄여주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기대에서 말이다.

표제어 설명

표제어 연계 콘텐츠

어린이에게 전하는 박물관의 전문성
국립민속박물관의 히트상품 중 하나는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이다. 이 사전은 2004년 『한국세시풍속사전-정월편』을 시작으로 지금도 주제를 달리해 편찬 중이고, 신뢰성을 확보하며 민속에 관한 여러 궁금증을 풀어주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은 어린이를 위한 최초의 민속사전으로,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반으로 박물관 내부 학예직과 외부 동화 작가의 협업을 거쳐 탄생했다. 초등 3~4학년의 문해력에 맞춰 만들었기 때문에 어린이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의 신뢰성도 높다.

이용 모습

어린이에게 전송하는 민속 빅데이터
국립민속박물관의 또 다른 히트상품 중 하나는 민속아카이브다. 2007년 개소 이래, 민속아카이브는 100만 점이 넘는 사진과 동영상 등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은 표제어 설명과 함께 민속아카이브가 소장한 사진, 동영상 등의 시청각 자료를 연계해 제공하기 때문에 표제어 설명의 이해에 큰 도움을 준다.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 표제어 설명에서 바로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설명으로 연계하는 기능도 구현해 놓았다. 해당 표제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표제어 연계 기능을 이용해 별도의 검색 없이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설명으로 넘어갈 수 있다. ‘비슷한 말’ 검색은 유사어, 유의어 등이 많은 우리 민속의 특징을 반영한 기능이다. ‘중추절’이라고 검색어를 입력하면, 표제어로 등록한 ‘추석’과 ‘한가위’가 검색 결과로 나오는 식이다.

아직 끝나지 않은 업데이트, 그다음 콘텐츠는?
앞으로도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은 콘텐츠를 늘려갈 계획이다. 내년 중순에는 우리의 일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세시풍속’을 주제로 내용을 확장한다. 또한 각종 연계 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표제어와 연결할 계획이며, 교육 현장에서 민속 콘텐츠를 여러모로 활용할 수 있도록 창구 역할을 할 예정이다.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은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누리집(https://nfm.go.kr/kids/elecontents/index.do)에서 만나볼 수 있다.

어린이에게 알려주는 학습의 재미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에서는 표제어 관련 게임과 퀴즈를 즐길 수 있다. ‘널뛰기’, ‘제기차기’, ‘그네타기’ 등 9가지의 민속놀이 게임은 놀면서 배우는 학습의 재미를 어린이에게 알려준다. 더불어 재미난 퀴즈 형식의 ‘우리 명절 퀴즈’는 127개의 문제를 바탕으로 우리 명절에 관한 지식을 어린이가 쌓아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온라인 『어린이민속사전』은 PC뿐만 아니라, 태블릿PC와 스마트폰 등 모바일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어린이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며 학교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어린이민속사전
접속 링크 QR코드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