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박물관소식

부엌, 추팡, 다이도코로 – 한·중·일 부엌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은 한·중·일 동아시아 부엌생활문화 조사보고서(1권『한국의 부엌』, 2권『중국과 일본의 부엌』)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2018~2019년 2년간 한국과 중국, 일본 세 나라 각 지역의 사람들이 어떠한 부엌 공간에서 어떻게 음식을 조리하고 식사를 하는지, 부엌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둔 현장조사 결과다.

1권 『한국의 부엌』에서는 우리나라 부엌과 주거 형태가 변화해 온 문화사적 과정을 다루고 있다. 한국의 전통 주거는 부엌의 부뚜막에 불을 지피면 방의 구들까지 동시에 데워져서 취사와 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구조다. 따라서 아궁이가 방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야 했고, 부엌의 바닥도 지면보다 더 낮았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부엌이 점차 ‘입식화’ 되면서 부엌은 단순한 취사 공간이 아닌 식사공간을 포함하는 의미의 ‘주방’으로 변화했다.

2권『중국과 일본의 부엌』중 ‘Ⅱ장 중국의 부엌살이’에서는 베이징 도심 아파트와 전통 주거 양식인 사합원四合院의 부엌, 면을 주식으로 하는 산시성의 사례, 저장성浙江省의 물가에 위치한 수향水鄕마을, 윈난성云南省의 소수민족 다이족傣族과 지눠족基诺族의 부엌까지 중국의 북쪽과 남쪽 지역을 고루 조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Ⅲ장 일본의 부엌살이’에서는 수도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도시주택의 부엌과 집합주택콜렉티브하우스의 부엌, 시가현滋賀県 하리에 마을針江의 친환경 부엌인 ‘물의 부엌 카바타川端’, 남쪽의 가고시마와 오키나와부터 북쪽의 아오모리와 홋카이도의 아이누의 부엌까지 다양한 부엌 사례를 조사했다.

중국 산시성 뤼량시 야오둥 내부
중국 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상차림
일본 시가현 하리에마을 카바타

이번 보고서는 부엌에서 일상을 영위하는 한·중·일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통해 ‘먹고사는 일’의 특별함과 평범함을 되새기는 계기가 될 것이다. 조사보고서는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 자료마당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