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복식도감

조선시대에도 헤어스타일 트렌드가 있었을까?

조선의 헤어스타일은 현대를 사는 우리의 상상을 넘어선다. 머리 모양은 물론이고 장식, 재료, 도구 등이 신분, 규범, 계층, 결혼여부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당연히 화려하고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은 모두 대감댁 마님의 차지였다. 여염집 아녀자에게 최첨단 유행의 헤어스타일은 참기 어려운 유혹이었을 것이다. 비교적 제약에서 자유로웠던 기녀들이 보란 듯이 머리카락을 치장하고 거리를 활보하는 모습은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다행히 조선시대 복식사에서 헤어스타일은 복식 제도보다 유연하였다.

 

헤어스타일의 트렌드를 만들고 유행을 쫓는 방식은 미혼 여성의 ‘땋은머리’ 보다 기혼 여성의 ‘얹은머리’가 선도하였다. 우리가 알고 있는 기혼 여성의 ‘쪽머리’는 조선 후기가 되어서야 나타난 새로운 트렌드였다. 조선시대 기혼 여성은 상당 기간 화려한 얹은머리를 하였다. 얹은머리는 체를 더한다하여 가체머리라고도 한다. 월자月子, 다리, 다래, 달비 등으로 불렸던 체人毛 즉, 가발을 더한 헤어스타일이다. 얹은머리의 변화를 따라가 보면 조선시대 헤어스타일의 트렌드가 보인다.

 

얹은머리를 한 제주도의 부인들_국립중앙박물관

 

조선 초기 얹은머리는 일단 머리카락을 모아 남성의 상투처럼 두상 중심에 얹어 고정하였다. 머리 정수리에 쪽을 지고 가체를 하여 부풀리거나 옆으로 늘어뜨렸다. 귀부인의 경우 온갖 머리 장신구로 치장을 하고 화려하게 꾸미기도 하였으나 헤어스타일의 볼륨이 조선 중기에 비할 바가 아니다. 소박하면서도 절제된 아름다움이 있었다.

 

조선 중기에 이르러 여성의 헤어스타일은 클수록 아름답다고 생각하였다. 당시 여성 복식도 과도하게 부풀어져 치마폭이 매우 넓어졌다. 성종成宗대에 얹은머리의 높이는 1척(약 30cm)이나 되었다. 조선 중기 경제적 풍요와 문화 번영은 헤어스타일의 확대와 과장으로 표현되었다. 얹은머리가 최신 유행으로 떠오르면서 체의 수요가 급증했고 가격도 급등했다. 급기야 다리 한 꼭지의 비용이 열 집의 재산보다 많은 상황에 이르렀다.

 

요즘 어느 한 부잣집 며느리가 나이 13세에 체를 얼마나 높고 무겁게 하였던지, 시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자 갑자기 일어서다가 체에 눌려서 목뼈가 부러졌다.(靑莊館全書, 30, 士小節 第6, 婦儀1, 服飾)

 

신윤복, 「풍속산수화」 중 일부_국립중앙박물관

 

현대 여성의 명품 가방과 신발, 고가 시계 등이 오버랩 될 것이다. 체는 조선 중기 최고 사치품이자 필수 혼수품이 되었다. 얹은머리 모양도 다양해졌다. 현대의 권오창 화백이 그린 여인은 신윤복 「미인도」속 여인과 얹은머리 모양이 사뭇 다르다. 대칭과 비대칭, 체의 양, 묶어 마무리하는 위치, 머리 장신구 등 얹은머리 모양에서 트렌드가 보인다.

 

반가와 일반 여염집 여성의 얹은머리는 궁중 여성도 따라하고 싶어 했다. 조선시대 복식유행은 대부분 하향 전파 되었으나 헤어스타일만큼은 상당 부분 상향 전파 되었다. 궁중에서는 ‘어여머리’라고 하여 어염 족두리를 정수리에 얹고 체를 둘러 올린 얹은머리가 있었다. 어여머리에 나비 날개와 같은 ‘떠구지’를 올리면 ‘거두미’가 된다. 어여머리와 거두미는 궁중 예장禮裝용 헤어스타일이지만 체로 만들었던 떠구지를 나무로 교체하는 등 민가의 얹은머리 풍토에 영향을 받은 바가 많았다.

 

사대부집의 사치가 날로 심하여 부인이 가체하는데 누백금累百金을 소비해 가면서 서로 본받기를 힘쓰고 되도록 높고 크게 만들려고 하므로 이를 금한다(英祖實錄, 87, 321(甲申)).

 

어염 족두리_경운박물관

어염머리를 한 순정효황후_국립중앙박물관

 

얹은머리의 사치는 나날이 심해져만 갔다. 조정에서는 고심이 많았나 보다. 『영조실록』과 『정조실록』에는 가체를 금지해야 한다는 어전회의 기록이 무척 많다. 결국 정조 12년(1788) ‘가체신금절목加髢申禁節目’이라는 가체금지령을 반포하였다. 여성의 헤어스타일을 법으로 금지하다니! 하긴 70년대에도 장발단속이 있기도 했다.

 

가체를 금지하고 쪽머리를 권장하였지만 유행이 바로 사그라지지 않았다. 순조 대에 이르러서야 얹은머리가 점차 쇠퇴하였다. 조선 후기 기혼녀의 ‘쪽머리’가 비로소 정착된 것이다. 무거운 체를 벗고 후두부에 작은 쪽을 지어 비녀로 고정하였다. 확대의 미감이 자연스럽고 실용적인 양식으로 바뀌었다. 복식, 예술사조, 사회 전반에 사실주의가 만연하였기 때문이다. 단조로워진 쪽머리는 신분 구별을 위해 첩지를 얹어 ‘첩지머리’라 하였고, 족두리를 얹기도 하였으며, 쪽의 부피를 키우기 위해 가체한 ‘조짐머리’를 또한 새롭게 만들었다.

 

쪽머리를 한 울산의 부인들_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에도 헤어스타일 트렌드는 있었다. 조선의 여성은 중요한 행사가 있으면 정해진 헤어스타일을 해야만 했다. 참석한 모든 이가 똑같은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었다니! 조선의 여성은 30세 때도, 그로부터 10년이 지나도 같은 헤어스타일을 하였지만 작은 일탈이 있었다. 체의 볼륨이 달라졌고, 묶는 위치가 바뀌고, 머리 장신구가 다양해지면서 트렌드가 되고 유행이 만들어졌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예와 오늘이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五洲衍文長箋散稿』
『靑莊館全書』
임린, 『한국 여인의 전통 머리모양』, 민속원, 2009

 

 

 

 

더 알아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