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PDF 박물관 바로가기

궁금한 민속

조선시대의 꽃놀이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4월, 만물이 생동하는 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달이다. 거리마다 봄이 왔음을 알리는 노랫가락이 울려 퍼지면 꽃들도 그에 맞추어 본격적으로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한다. 사람들은 꽃놀이 명소를 찾아다니기 바쁘고, ‘꽃놀이 인증샷’을 SNS에 공유한다.

누구 하나 예외랄 것 없이 우리는 꽃놀이를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설렌다. 이러한 현상은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만 나타나는 것일까?’라는 질문과 함께 ‘무려 200~300년 전인 조선시대 사람들도 꽃놀이를 즐겼다면, 당시 그들이 봄마다 즐겨 찾던 꽃놀이 명소는 어디였을까?’하는 궁금증이 생긴다.

여러 고문헌에는 우리 선조들이 예로부터 음력으로 삼월 무렵이 되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무리를 지어 경치 좋은 산이나 냇가로 나가 꽃놀이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사람들이 모여 꽃놀이를 한 것이 구체적인 기록으로 확인되는 것은 고려시대의 장미연薔薇宴부터이나, 꽃놀이가 민간풍속으로 받아들여지는 양상이 보이는 것은 꽃놀이 기록이 조선의 대표적인 세시풍속서들에 나타나면서부터이다.

20170411_M_01

봄날에. 신윤복의 풍속화 ‘봄소풍[연소답청年少踏靑]’을 수놓은 자수그림으로 곳곳에 돋아난 꽃과 새싹들을 배치하여 봄날의 생동감을 주었다.
_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다양한 꽃놀이 관련 행태가 담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1849)』의 「3월三月」을 살펴보면, ‘화류花柳는 산언덕 물굽이를 찾아 놀러 다니며 봄을 즐기는 것으로 이는 삼짇날 풀밭에 나가 처음 돋은 풀을 밟는都俗出遊於山阿水曲謂之花柳卽上巳踏靑之遺俗也 놀이로 풀이된다. 여기서 화류는 삼짇날上巳 ‘답청踏靑’하는 데서 유래한 풍속이라는 설명이 있으니 답청은 매우 오래된 민간 풍속이겠다. ‘화전花煎놀이’ 또한 삼짇날의 풍속으로, 화전은 진달래꽃을 반죽한 찹쌀가루에 붙여 둥근 떡을 만든 다음 참기름에 지진 떡을 말한다. 원래 이 떡을 지져 먹고 가무를 즐기던 부녀자들의 놀이를 일컫던 화전놀이는 후에 교외에 나가 음식을 먹고 꽃을 보는 놀이를 지칭하게 되었다.

이처럼 시대와 지역, 놀이방식 등에 따라 상화, 화류, 화전놀이 등 꽃놀이를 지칭하는 명칭들은 달라도 선조들의 꽃놀이는 자연을 거닐고 체험하는 행태를 보였으며, 이는 따로 시간을 내어 여가로서 꽃놀이를 즐겨하였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 한양의 대표적인 꽃놀이 명소는 어디였을까? 그 답은 조선후기 한양에서 행해지던 세시풍속과 그 풍속이 행해지던 장소를 함께 기록한 유득공柳得恭(1748~1807)의『경도잡지京都雜誌』 「유상遊賞」 조에서 확인 가능하다.

필운대弼雲臺 행화杏花, 북둔北屯의 복사꽃, 흥인문밖 버들楊柳, 천연정天然亭 연꽃, 삼청동 탕춘대蕩春臺의 수석水石이 술과 노래를 즐기려는 자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도성의 둘레는 40리 인데 이를 하루 만에 두루 돌면서 성 내외의 꽃과 버들을 감상하는 것을 좋은 구경거리로 여겼다.(하략)

근래의 꽃놀이라고 하면 단연 벚꽃놀이를 최고로 치지만 옛날에는 살구꽃과 복숭아꽃이 우리나라의 봄을 대표하는 꽃이었다. 이를 감상하고 즐기기 위해 모인 곳이 필운대와 북둔이다. 서울 종로구 필운동 서쪽 끝인 인왕산 산기슭 배화여고 후정에 위치한 필운대는 조선후기에 중요한 문화공간의 역할을 하였는데, 필운대에서의 꽃놀이와 관련하여 작품을 남긴 사람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는 점에서도 시, 노래, 그림 등에서 중요한 지소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최재남, 2014)

20170411_M_02

화전가花煎歌. 조선시대 한글가사, 필사본. 봄철을 맞은 여인들이 시집살이의 굴레를 벗어나서 경치 좋은 곳을 찾아 즐겁게 화전놀이를 하며 읊은 가사
_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북둔은 북사동北寺洞으로 불리던 지금의 성북동 일대를 말한다. 조선시대 서울의 역사와 모습을 서술한 부지府誌인 『한경지략漢京識略』의 「명승조 북사동편」을 보면 혜화문 밖에 북둔이 있었다는 내용이 전해지고, 실학자 박제가朴齊家(1750~1805)가 18세기 한양의 풍경을 묘사한 『성시전도시城市全圖詩』에는 이곳이 산이 높고 골이 깊어 도성 밖 북쪽을 지키는 군대인 어영청御營廳과 성북둔城北屯을 설치했던 곳이어서 북둔이라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필운대의 ‘대’라는 명칭과 북둔의 언덕을 뜻하는 ‘둔’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 주변보다 높은 전망 장소로서 꽃을 구경하기에 제격이었던 듯하다.

경도잡지의 세 번째 꽃놀이 명소로 수양버들이 유명한 흥인문 밖을 들고 있는데 이는 동시대에 그려진 「한양도성도漢陽都城圖」에서 흥인문(흥화문)과 청계천 주변에 우거진 버드나무가 그려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천연정은 현재 서대문구 천연동 금화초등학교 부근에 있던 연못 ‘서지西池’에 세워진 것이다. 서대문 밖 모화관慕華館 옆에 있던 서지는 서울의 연못 가운데 가장 크고 연꽃이 무성하여 여름철에 성안 사람들이 연꽃을 구경하기 위해 많이 모여들었던 곳이다. 이에 대해 『한경지략』의 「누정조 천연정편」과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 「누정」등의 기록에서는 여름철이면 연꽃이 무성하여 이름난 곳이라 묘사된다.

문헌기록의 종합을 통해 이들의 위치를 추정해보면, 필운대를 제외한 세 곳 모두 도성 밖에 위치하고 있는데, 사실상 이들이 속한 행정구역을 보면 성 내외의 구별 없이 중요한 구역으로 다루어져 온 곳임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의 행정구분은 세종 때의 5부 49방을 계속 사용해온 것인데, 기본적으로 도성 내 성중오부城中五部가 핵심 관할구역이었다. 하지만 49방 가운데서도 돈의문 밖의 서부 반송방盤松坊, 소의문 밖 반석방盤石坊, 광희문 밖의 동부 숭신방崇信坊 및 인창방仁昌坊 등은 성 밖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포함시켜 경중오부京中五部 및 성중오부라 하였다 (김선정, 2005). 북둔이 속한 숭신방, 흥인문 밖이 속한 인창방, 천연정이 세워진 반송방 등 세 곳은 비록 성 밖에 위치해 있었지만 이 지역들은 한성부만큼이나 중요하고 이름난 곳이었음에 틀림없다. 또한, 네 곳의 꽃놀이 명소는 모두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드나들던 도성문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도성 안팎의 사람들이 이곳들을 찾아와 꽃놀이를 즐기는 명소가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한경지략에서 소개한 꽃놀이 명소가 선비와 가객들이 꽃을 구경하고 시를 짓기에 모여든 최고의 명당이었음은 관련 기록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채제공蔡濟恭(1720~1799)의 「조원기曹園記」, 박지원朴趾源(1737~1805)의 「필운대의 살구꽃을 구경하다弼雲臺看杏花」, 이덕무李德懋(1741~1793)의 「북둔간도화北屯看桃花」, 유본학柳本學의 「오수문유제五水門柳堤」, 이윤영李胤英(1714~1759)의 「서지에서의 꽃구경西池賞花記」 등이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각 꽃놀이 명소에서 풍류를 읊은 기록이 매우 많다.
꽃놀이를 하기 위해 해당 장소를 방문한 당대 사람들은 단순히 꽃을 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꽃놀이를 포함한 자연 감상과 시, 노래, 음악 활동을 함께 전개시켰던 것이다. 꽃이 주는 향기 뿐 아니라, 꽃이 주는 기운과 빛, 바람, 풍광을 누리며 꽃을 감상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자연 경관에 빗대어 감정과 심상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꽃놀이 명소가 방문객에게 감각적 체험을 유도하는 공간으로서 이 체험을 통한 감정을 시나 그림 등으로 공유하는 소통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채제공蔡濟恭(1720~1799)의 「조원기曹園記」, 박지원朴趾源(1737~1805)의 「필운대의 살구꽃을 구경하다弼雲臺看杏花」, 이덕무李德懋1741~1793)의 「북둔간도화北屯看桃花」, 유본학柳本學의 「오수문유제五水門柳堤」, 이윤영李胤英(1714~1759)의 「서지에서의 꽃구경西池賞花記」 등이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각 꽃놀이 명소에서 풍류를 읊은 기록이 매우 많다.| 이종묵 「조선 선비의 꽃구경과 운치 있는 시회」 한국한시연구 제20호, 2012:299-335
| 최재남 「박효관의 필운대 풍류와 이유원의 역할」 한국시가연구 36권, 2014:175-205
| 김선정 「조선시대 <경기감영도> 고찰」 옛 그림 속의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2005:223-274

글_이제이 | 충남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 연구원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동대학원에서 박사과정 수료 후, 현재 충남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더 알아보기
1개의 댓글이 등록되었습니다.
  1. 주유미 댓글:

    북숭아꽃 살구꽃 아기진달래~
    모두 쉽게 구경하기 힘든 꽃이네요..
    산으로 들로 가면 볼 수 있을지..
    길가에 흩날리는 벚꽃도 좋지만 산 중턱에 피어있는 소담스런 진달래도 사랑스럽지요^^
    글 읽으며 이꽃 저꽃 상상하다 혼자 꽃놀이 다녀온 듯 합니다..ㅋㅋ

댓글 등록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